{{|
은혜의 시
은혜의 시
이 책들의 도시에
빛을 잃은 몇 개의 눈을 주인 되게 하시다.
오직 꿈의 도서관에서나
책을 읽을 수 있는 두 눈,
자꾸만 뒤로 밀려나는 분별없는 글씨들
빛을 잃은 몇 개의 눈을 주인 되게 하시다.
오직 꿈의 도서관에서나
책을 읽을 수 있는 두 눈,
자꾸만 뒤로 밀려나는 분별없는 글씨들
눈의 열망에도 허락하지 않는 여명, 헛되이
대낮은 끝없는 책들을 자랑스레 펴보이지만
어렵기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사라져버린
그 어려운 원고들 같은
대낮은 끝없는 책들을 자랑스레 펴보이지만
어렵기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사라져버린
그 어려운 원고들 같은
(어떤 그리스의 이야기가 있지) 목마름과 배고픔으로
과수원과 샘물 사이에서 한 왕이 죽어갔다는......
지향없이 나는 이 높고 깊은
눈먼 도서관, 서가 사이를
끝에서 끝으로 헤맨다.
과수원과 샘물 사이에서 한 왕이 죽어갔다는......
지향없이 나는 이 높고 깊은
눈먼 도서관, 서가 사이를
끝에서 끝으로 헤맨다.
백과사전들, 지도들, 동양,
서양, 시대들, 왕조들,
상징들, 우주, 우주 창시론들을
벽들이 내놓는다, 부질없이.
서양, 시대들, 왕조들,
상징들, 우주, 우주 창시론들을
벽들이 내놓는다, 부질없이.
나의 그림자 속에서 나는 서서히
갈 곳 모르는 지팡이로 텅 빈 어둠을
더듬는다. 나, 일종의 책의 세계에서
하나의 천국을 꿈꾸었던 나.
갈 곳 모르는 지팡이로 텅 빈 어둠을
더듬는다. 나, 일종의 책의 세계에서
하나의 천국을 꿈꾸었던 나.
어떤 '우연'이라는 말 하나로
명명할 수 없는 어떤 것이 이것들을 지배한다.
다른 사람도 또다른 어둑어둑한 하오에
이 많은 책들과 어둠을 선물로 받았겠지.
명명할 수 없는 어떤 것이 이것들을 지배한다.
다른 사람도 또다른 어둑어둑한 하오에
이 많은 책들과 어둠을 선물로 받았겠지.
서서 한 서가를 헤매다 보면
형언할 수 없이 성스러운 공포로
더러 나는 내가 딴사람임을 느낀다, 다른
죽은 사람, 그 다른, 나와 같이 똑같은 날에
똑같은 발걸음을 옮겼을 그 사람.
형언할 수 없이 성스러운 공포로
더러 나는 내가 딴사람임을 느낀다, 다른
죽은 사람, 그 다른, 나와 같이 똑같은 날에
똑같은 발걸음을 옮겼을 그 사람.
그 둘 중의 누가 이 시를 쓰고 있는가
그 복수의 나, 아니면 단 하나의 그림자?
말이 무슨 상관이랴, 내게 오는 이 말이,
결국은 구분할 수 없는, 똑같은 저주......
그 복수의 나, 아니면 단 하나의 그림자?
말이 무슨 상관이랴, 내게 오는 이 말이,
결국은 구분할 수 없는, 똑같은 저주......
저주와 지옥을 안, 백과사전 작가 그루삭이거나 보르헤스,
누군가 내가 이 사랑스런 세상을 보고 있다.
창백한 잿더미 속에 희미하게
변질하며 자꾸만 꺼져가는 세계,
꿈과 망각을 닮은.
|}}
누군가 내가 이 사랑스런 세상을 보고 있다.
창백한 잿더미 속에 희미하게
변질하며 자꾸만 꺼져가는 세계,
꿈과 망각을 닮은.
|}}
책권하는사회 노스모크의 책방소식이나 읽을거리지도에서, 책에 대한 열정이 남다른 노스모키안들의 은혜로운 책추천목록들을 보면서 떠올리던 詩입니다. 이 시는 보르헤스가 자신이 그토록 좋아하던 책들을 원없이 볼 수 있게 되었을 때 시력을 잃은 생애의 전력이 담긴 자기고백적인 시입니다. 저는 그 사실을 몰랐을 때 이 시를 접했었는데, 그러므로 자세한 의미들을 알아차리지 못하면서도 어딘가, 장서와 독서에 대한,그 만남에 대한 경외감에 가까운 절절함이 느껴졌더랬지요... 번역자가 있을터인데 저도 동호회 게시판에서 퍼온 것이라서요.
(이 시를 올려주신 J님께 심심한 감사와 양해를 구하며...이곳에도 가끔 들르시거든요. --Felix )
{{|
축복의 시
축복의 시
[1]
-- 마리아 에스떼르 바스께스
누구도 눈물이나 비난쯤으로 깎아내리지 마시라.[2]
책과 밤을 동시에 주신
신의 경이로운 아이러니, 그 오묘함에 대한
나의 허심탄회한 심경을.
신은 빛을 여읜 눈을
이 장서 도시의 주인으로 만들었다.
여명마저 열정으로 굴복시키는 몰상식한 구절구절을
내 눈은 꿈속의 도서관에서 읽을 수 있을 뿐.
이 장서 도시의 주인으로 만들었다.
여명마저 열정으로 굴복시키는 몰상식한 구절구절을
내 눈은 꿈속의 도서관에서 읽을 수 있을 뿐.
낮은 무한한 장서를 헛되이
눈에 선사하네.
알렉산드리아에서 소멸한 원고들같이
至難한 책들을.
(그리스 신화에 이르기를) 샘물과 정원 사이에서
어느 한 왕이 굶주림과 갈증으로 죽어간다 했거늘.
높고도 깊은 눈먼 도서관 구석구석을
나도 정처 없이 헤매이네.
눈에 선사하네.
알렉산드리아에서 소멸한 원고들같이
至難한 책들을.
(그리스 신화에 이르기를) 샘물과 정원 사이에서
어느 한 왕이 굶주림과 갈증으로 죽어간다 했거늘.
높고도 깊은 눈먼 도서관 구석구석을
나도 정처 없이 헤매이네.
백과사전, 아틀라스, 동방
서구, 세기, 왕조,
상징, 우주, 우주론을
벽들이 하릴없이 선사하네.
서구, 세기, 왕조,
상징, 우주, 우주론을
벽들이 하릴없이 선사하네.
도서관에서 으레
파라다이스를 연상했던 내가,
천천히 나의 그림자에 싸여, 더듬거리는 지팡이로
텅 빈 어스름을 탐문하네.
파라다이스를 연상했던 내가,
천천히 나의 그림자에 싸여, 더듬거리는 지팡이로
텅 빈 어스름을 탐문하네.
우연이라는 말로는 형용할 수 없는
무엇인가가 필시 이를 지배하리니.
어떤 이가 또다른 희뿌연 오후에
이미 수많은 책과 어둠을 얻었다.
무엇인가가 필시 이를 지배하리니.
어떤 이가 또다른 희뿌연 오후에
이미 수많은 책과 어둠을 얻었다.
느긋한 복도를 헤매일 때
막연하고 성스러운 공포로 나는,
동일한 나날, 동일한 걸음걸음을 옮겼을
亡者가 된 그라고 느낀다.
막연하고 성스러운 공포로 나는,
동일한 나날, 동일한 걸음걸음을 옮겼을
亡者가 된 그라고 느낀다.
여럿인 나, 하나의 그림자인 나,
둘 중 누가 이 시를 쓰는 것일까?
저주가 동일할지면
나를 칭하는 이름이 무엇이 중료하랴?
둘 중 누가 이 시를 쓰는 것일까?
저주가 동일할지면
나를 칭하는 이름이 무엇이 중료하랴?
( 옮긴이 : 우석균 )
|}}
|}}
[1] <아세도르(1960)>의 시들 중 맨 앞을 장식하는 작품으로 1958년에 쓴 것이다. [보르헤스] 자신이 손에 꼽을 정도로 애착을 느끼는 시이기도 하다. [보르헤스]는 1955년 국립 도서관장으로 임명되었다.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기 전이었던 당시로서는 생애 최고의 영예였다. 아무 때나 장서로 가득찬 서고에 들어가 이 책 저 책 뒤적일 수 있다는 사실도 그를 들뜨게 했다. 그러나 바로 이 무렵 [보르헤스]는 거의 시력을 상실하였다. 이 시는 최고의 영예의 순간에 불행의 나락에 굴러떨어진 삶의 아이러니를 토로하고 있다. ‘축복’운운 하는 제목부터가 아이러니이다.
[2] Maria Esther Vazquez. 아르헨티나의 여류 문학 평론가로 1957년 [보르헤스]를 알게 된 후 그가 한때 결혼까지 고려했을 정도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시력을 상실한 [보르헤스]를 위해 강연 여행도 여러 차례 수행했으며, <영국 문학입문 Introduccion a la literature inglesa>(65), <중세 게르만 문학 Literaturas germanicas medievales>(65) 등을 공동저술했다. [보르헤스] 전기와 대담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3] 파울 그루삭 Paul Groussac(1848-1928). 18세기에 프랑스에서 이민와 정착한 아르헨티나의 문인이자 문학평론가. 죽을때까지 45년간이나 국립 도서관장을 역임했다. 재임 중에 [보르헤스]처럼 시력을 상실했다.
보르헤스에 대한 사전정보가 시의 공감을 도울듯하여 보르헤스에 대해 소개된 페이지를 찾아서 다른 번역판을 함께 올립니다.(주석도 그대로 옮겼습니다) 이곳을 참고해보시길 : http://my.dreamwiz.com/borges/borges/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