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actorMe 현대사회를 지탱하는 물적, 정신적 토대의 거의 전 범위에는 수학이 자리잡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현대사회에서 수학만큼 경원과 무시와 왜곡의 대상이 되는 분야도 찾기 힘들 것이다. 인류 역사상 최고의 합리성을 구가한다는 현대의 대중들은 과연 수학을 어떻게 감각하고 인식하고 표상하는가.
2. 영화 ¶
- TheMathInTheMoviesPage
제목 그대로 영화 속에 등장하는 수학 관련 이야기들을 모아놓은 페이지입니다. 개인페이지인 것 같은데 제가 시간을 두고 천천히 해보려던 것을 벌써 누가 해 놓았더군요. 최근작으로 ABeautifulMind 속의 수학에 대한 이야기도 업데이트 되어 있습니다.
- 수학과영화라는 이름으로 어떤 분이 일부를 번역해 놓은 것도 있습니다.
- 수학과영화라는 이름으로 어떤 분이 일부를 번역해 놓은 것도 있습니다.
- 경원대 수학과 - 영화 속 수학
3. 만화 ¶
- 만화 "마스터키튼"에서 키튼의 이혼한 부인은 수학자로 나온다. 1권 7장에서 그녀는 '미분방정식에 의한 3차원다양체의 분류'라는 제목의 논문을 쓰고 있다고 설명된다. 3차원다양체는 아직까지 완전한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은 유일한 차원의 다양체이다. 다양체란 1차원에서의 곡선, 2차원에서의 곡면을 일반차원으로 확장한 수학적 대상이다. 우리가 흔히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곡면들은 2차원다양체며, 3차원공간 자체 등의 특수한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 3차원다양체는 3차원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표현될 수 없다.(그러나 3차원다양체의 각 부분들은 3차원공간의 부분과 국소적으로 동일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도 국소적으로만 3차원공간과 같은 3차원다양체일지도 모른다, 는 생각을 아인슈타인이 했다고 얼핏 들은 적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_-;) '단순연결된 옹골 삼차원다양체는 3차원구면 S^3뿐이다'라는 푸앵카레가설은 아직까지 증명되지 않은 현대수학 최대의 난제 중 하나이다. "마스터키튼"에서 키튼의 이혼한 부인은 언제나 외국 어디에서 알 수 없는 공부를 하고 있고, 가끔 딸과 전화 통화를 하는 것이 전부인 존재이다. 작가는 그녀의 그러한 성격에 수학자라는 설정이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던 것일까?
다양체는 유클리드 공간과 호메오모픽한 패치로 완전히 cover되면 다양체라고 합니다 (by definition). 즉, locally 유클리드 공간인 척 다룰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