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결정론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언어가 사고관을 결정한다는 주장.


영어공용화의 결과로 사고관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먼저, 영어공용화에 대한 찬성이나 반대의견을 생각하기 이전에, 영어공용화가 분명히 가져올, 그러나 대다수에 의해 간과되고 있는 점을 한가지 지적하고 싶습니다. 한 나라의 언어와 문화는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이고, 하나의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언어와 연관된 문화를 배워야합니다. 하나의 언어를 배운 사람은, 구사할 수 있는 언어가 하나 늘어났다는 것보다 훨씬 큰 변화를 겪습니다. 바로 가치관과 사고방식의 변화입니다. 현재의 한국인과, 한국어와 영어가 공용어인 한국의 한국인은 정체성이나 가치관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민족이라고 보아도 될것입니다. 만약 제주도에서의 영어공용화 시도가 성공한다면, 앞으로 20년 후 제주도민과 내륙인들 사이의 잠재적 충돌과 갈등의 가능성은, 영 호남 지방간의 갈등보다는 남한민과 북한민 사이의 갈등과 그 정도면에서 더 흡사할 것입니다. 농담처럼 그 전 부터 해오던 이야기이지만, 50년쯤 뒤에는 제주도가 한국에서 독립하려고 할지도 모르지요. 영어공용화에 따른 정체성과 가치관의 변화가 과연 한국이라는 나라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지, 해가 되는지, 이도저도 아닌지에 대한 판단은 내려본적이 없습니다. --괴물눈깔

훔볼트의 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하나의 언어는 하나의 세계관이다."

말레이시아에는 반대의 역사가 있습니다. 현재는 말레이어가 국어이고 영어는 통용어인데, 과거에는 식민지 처지로 영어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학교에서도 영어를 사용했죠. 그래서 40대 50대만 되어도 영어를 꽤 잘합니다. 하지만 마하티르 총리의 자국 우선주의 노선으로 학교에서 영어가 쫓겨났습니다. 그래서 일주일에 한 두 시간 하는 영어 수업 시간외에는 영어를 쓸 일이 없습니다. 젊은 애들은 영어가 통하지 않습니다 -- 우리나라 학생보다 못하면 못했지 절대로 낫지 않습니다. 어떤 부모들은 이 때문에 일부러 화교학교에 애를 보내기도 합니다 -- 화교학교는 영어 사용이 허용됩니다. 우리나라의 일본어와 비슷한 경우일런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40, 50대가 영어를 어려서부터 배웠다고는 하지만 그들의 가치관과 사고방식, 문화가 오히려 요즘 영어를 쓰지 않는 젊은 사람들보다 더더욱 전통적, 민족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은 한 두 가지 요소에 좌우되지 않습니다. 영어를 쓰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간에 어떤 정체성과 가치관의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단순히 언어 때문만은 아닐 것입니다. 훔볼트나 사피어, 훠프 등의 언어 결정론은 조심해야 합니다. --김창준

사피어울프 가설은 가치관이나 정체성을 결정한다는 문제보다는 생각의 구조나 범위의 문제랑 더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산

"우리가 만약 다른 언어로 말한다면, 우리는 다소 다른 세상을 인지할 것이다.- 비트겐슈타인" 이라는 말과도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듯 싶습니다. -- 최종욱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