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종말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cubeUniSmGaussRaymundoGeorgeHarrison 과학의종말



지난 수세기동안 쌓아올려진 과학상의 대발견은 이제는 존재하지 않을 것인가.. 인간이 쌓아올려온 과학이라는 영역에서의 진리에 대한 탐구는 이제 종착점에 다다른 것인가.. --존 호건-과학의 종말

미국의 과학저술가인 저자가 금세기 최고의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을 방문하여 인터뷰한 내용을 싣고 있다. 그 대가들이 생각하는 과학의 미래, 인류의 미래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서평

{{|과학은 언제나 낙관했었다
최근 과학자들은 유전자를 조작해 생물을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 물리학자들은 우주 발생의 신비가 멀지 않아 풀리리라고 확신한다.

21세기를 앞둔 요즘 과학의 모든 분야에서는 새 이론과 공식이 발견되고 있다. 이제 과학은 인간의 모든 의문을 해소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의 과학 칼럼니스트인 존 호건은 과학에 대한 이같은 낙관은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원리를 발견하기 1백년 전에도 과학자들이 뽐내던 것이었다고 말한다.

제 아무리 과학이 발달한다 해도 미지의 영역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이 호건의 설명이다. 예컨대 양자역학은 물리학자들의 탐구가 가장 심도있게 이루어지는 분야.

그러나 1992년 컬럼비아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한 참석자는 『난장판』이라는 말로 학자들의 혼란상을 대변했다. 진화 생물학이 아무리 발달했지만 아직도 생명의 탄생을 둘러싼 신비는 풀리지 않고 있으며, 인간이 왜 의식을 갖는지 신경과학은 설명하지 못한다.

호건은 인간이 과학을 통해 진리를 찾으려는 노력을 하는 것의 한계를 깨닫는다고 말한다.

다이제스트, 우태영 기자 / 조선일보 / 19970606 |}}

아마존 닷컴의 한 서평

{{|
This book would have better been titled Facing the Limits of John Horgan

http://freeinfo.org/tch/fall99/articles/debate.html : Science: too hard for John Horgan
|}}

토론

진정한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과학의 일차적 목표라고 인식하고 있던 중 과학의 한계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하는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노스모키안의 여러분들께서는 과연 이러한 화제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그리고 이런 사실이 믿을만한 근거를 가지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겨 이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우리 사회에 있어 과학과 기술 그리고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토론도 곁들여진다면 더욱 좋겠고요..사실 이런 주제에 대한 토론이 곁들여진다면 이 책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지않을까해서도요 --JongHoon


이제 아장아장 걷는 어린아이에게 마라톤에 대해 아느냐고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김우재

그러나, 아이의 눈은 때로 어른보다 정확합니다. 처음 시작할 때, 잃어버린 포인트에 가장 근접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니까요. "인류에게 지식이 증가하는만큼의 지혜가 증가하지 않는다면, 지식의 증가는 곧 비애의 증가가 될 것이다"라는 BertrandRussell의 말은 어린아이에게도 이해가 가는 말입니다. 이 포인트를 벗어나고도, 굉장한 질주만을 계속 하고 있는 것이 과학이라면, 어린아이의 눈에도 보이지 않을 수가 없는 것 아닐지. 마라톤에 대해서 아느냐고 묻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지만, 마라톤이 어떠냐고 묻는건 의미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가리키면서, 저게 마라톤이라는 건데 어떠냐고...--Roman

지금까지 과학과 기술은 사회 발전의 한 '도구'가 되어왔습니다. 어쩌면 이 지구와 우주에서 인간에게 유익한 것을 짜내어 먹어볼까 하는 생각으로 연구와 발전이 이뤄졌습니다. 순수한 학구열로 과학자들이 연구해낸 결과가 정치가와 사업가들의 손에 넘어가면서 하나의 도구화가 되버린 것 이겠죠. 아마 이런 도구적인 측면, 즉 과학과 기술을 분리한다면 무한한 발전도 가능할 거라고 생ㄱ가합니다만..--김우성

우선 전 기술로 과학을 바라보는 관점을 굉장히 섭섭하게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과학은 (현대인의 종교:객관적인 세계관을 제공해주는 논리)이고, 과학이라는 길을 접어든 사람들은 현대의 수도사라고 생각합니다. 과학을 감히 종교라고 말하는 이유는, 인간이 쉽게 갖는 의문들을(예: 번개는 왜 치는가) (가장 객관적이라는:절대적인) 지금 과학이 대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현대물리학에서 논하는 것들이 과연 옛날 신학에서 다루었던, 첨탑위에 천사 몇이 노는가(틀렸으면교정?)라는 질문이나 이가 먼저인가 기가 먼저인가하는 질문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진정한 객관의 문제인가는 잘 모르겠습니다. 대신 옛날의 질문이 그 당시 신학을 연구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 당시의 진리탐구에 있어서 중요했었다는 것을 이해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아무개


반대로 저는 과학과 기술을 엄밀하게 구분하는 관점을 상당히 섭섭하게 생각 합니다. 종교는 디자인이 얼마나 폼나고, 신화가 얼마나 재미있으며, 교주가 얼마나 멋있는 초능력을 쓰는가에 의존적인 경우가 많습니다만, 과학이 갖는 소위 "객관성"이라는 것은 따지고 보면 인간에 대한 유용성입니다.

포물선 궤적을 서술할 때, 궤적 위의 (x,y)좌표를 100개 정도 나열 하고, 이 점들을 이은 선이 포물선 궤적이며, 오차는 몇 퍼센트 이내라고 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이런 방법보다는 이차함수 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과학적"입니다. 그 이유는 이 방법이 방법 자체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효용있는 연구의 갈래를 많이 양산하기 때문이겠지요. 심지어 아주 순수한 과학 조차 최소한 " "인간의 지적 즐거움"을 만족시킨다."라는 관점이 있습니다. 이때 "인간의 지적 즐거움"이 "깨달음의 즐거움"과 "기교적 과시의 즐거움"이라면, 그것은, 무엇인가를 더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을 알거나, 세상의 지형에 대해 더 잘 파악하면 생존에 유리하다는 효용으로서 동물적 본능이 의식속에 도사리고 있던 것의 결과가 아닐까요?

진화/창조 논쟁에서 많이 언급되었듯이, 과학은 절대적 진리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반론 가능한 최대한의 좋은 설명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좋은 설명"이라는 것은 보다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혹은 인간이 다른 사고를 하는데 편리하게 함으로서 간접적으로) 유용한 설명이라는 뜻이겠지요.

따라서 저는 "수도사"의 태도로 과학을 연구하는 것은 "좋은 취향"이라고 생각하되, "더 올바른 태도"라고 보고 있지는 않습니다. 과학은 절대성이 완결되지 않은 채로, 인간의 두뇌가 갖는 논리체계에 제약을 받는 것입니다. 그러한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인본주의적 과학을 무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봅니다.

배가 고파서 물고기를 먹으려고 낚시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낚시의 즐거움을 분석하건데 그 원천에 동물적인 인간으로서 소유와 사냥의 본능적 쾌감이 살짝 도사리고 있음을 배제하기 힘들 겁니다. 그렇다면, 먹고 살려고 고기를 잡는 어부와 낚시꾼을 지나치게 엄밀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을 겁니다. 어부도 뱃노래를 부르며 바다에 나갈때, 낚시꾼이 낚시를 좋아하는 바로 그 감동을 충분히 알고 있을 수 있습니다.

역학을 연구하던 과학자가 하늘을 나는 자유롭게 나는 기계를 꿈꾸고, 전자기학을 연구하던 과학자가 대서양 건너 어머니에게 소식을 전할 날을 꿈꾸는 것은 나름대로 멋있는 태도 아닙니까? 그런 목적물이 있을 때, 비록 덜 고상해 보일지는 몰라도, 인간이란 동물은 더 잘 달리는 법입니다. 세상이 발전하면 발전할 수록, 두 태도에서 연구하는 분야도 겹치는 것이 많아지니까 더욱.

그런 관점에서, 과학은 진실에 대한 학문이 아니라 사실의 설명에 대한 학문이라고 본다면, 과학은 영원히 종말하지 않을 지도 모릅니다. 어느날 물리학이 세상을 환원적으로 설명했다해도, 다음날 복잡한 텐서 해석 없이 뉴-벤다이어그램 같은 도구로 상대성이론을 이해할 수 있다면, 과학은 더 발전한 것 아닐까요? 그러고 나면, 과학을 하는 것이 인간이 이상 인간의 이해 능력은 증진되어 뭔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종교적인 사명감으로서 파헤치던 세상의 신비도 몇 가지 더 드러나겠지요. -- gerecter



꼭 종말로 밖에 볼수 없었는지 읽어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게 있어서의 과학은 이 세상의 모든것에대해 완벽하게 저장해놓은 도서관에서 책한권을 꺼내어 하나하나 정독도 하고, 속독도 하고, 가끔은 다른 책도 뒤적거리면서, 그 완벽을 발견하는데 접근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종말이라고 여기는 것들을 종말이라고 단언 할 수 없으며,그것이 종말로 이끄는 길에 놓일것인지 아닌지는 자신의 세계에서 자신의 잣대로 평가해볼 수는 있겠지만, 과학의 종말이라는 비관적인 단어로 과학의 현재를 진단해버리는 것은 기우가 아닐지....--AromTree

과학의 종말을 읽고 가진 의문은 과학혁명의 구조를 읽고서 완전히 풀렸습니다. 정상 과학에서는 항상 새로움이 없어보이는 연구활동이 극에 달할 때에 비로소 과학자의 눈에 나타난 이상현상이 새로운 법칙의 발견을 이끌어간다고 합니다. 그럼으로써 과학혁명이 이루어지는 것이고요.--JongHoon

얼마전에 도서관에서 우연히 과학의종말을 읽었습니다..이 책의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게 보입니다.얼마 안가서 과학은 종말을 맞이할 것입니다..현재의 급속한 과학의 발전은 현대과학이 한계에 부딧히기 직전임을 의미합니다
저자의 말대로 우주론과 입자물리학은 더이상 새로운 이론이 나오고 있지 않으며 너무 막대한 연구비가 들어가며 철학이나 사회과학 등은 이제 더이상의 논쟁거리가 없는 것처럼 보이며 생명과학의 발전에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릅니다. 저자는 응용과학과 공학의 발전은 당분간 계속되어 더 빠른 컴퓨터 등이 출현하는 등 다른 분야보다는 종말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저는 거기에 반대합니다. 인간은 이제 생활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것들을 발명해 내었습니다
앞으로는 더이상 놀라운 발전은 없을 것입니다..약간의 진보는 있을 수 있겠지만..
그리고 열역학 제2법칙이 존재하는 한 개발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대체 에너지를 예로 들어 보죠..우리는 태양열이나 태양광 발전,풍력발전 등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태양열 발전소를 하나 짓는데는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듭니다
어쩌면 태양열로 인해 생산되는 에너지보다 건설과 운영과정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될지도 모릅니다..또한 지구의 모든 화석연료는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며 연소후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켜 환경을 오염시킵니다
그러므로 더 이상 과학과 공학의 발전과 환경오염의 주범인 대량생산,대량소비는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합니다.지속 가능한 개발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개발은 곧 파괴입니다. 이제 인간은 친환경적 문화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과학은 이제 그 수명을 다해가고 있습니다. 어쩌면 그것은 자연스러운 일일지도 모릅니다.어쩌면 과학의 자리를 다시 종교나 예술이 차지할지도 모르겠습니다--하늘이

그렇다면 과학의 종말이란 더이상의 과학적 진보가 사회에 필요없다고 구성원들이 느낄때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는군요. 저도 그점에는 동의합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종말의 개념은 그것과는 약간 다릅니다. 과학의 도구적 의의를 말하는 것이지요. '과학이라는 학문의 시스템이 더 이상의 자연법칙들을 밝혀낼 수 있는 여력을 가지고 있느냐?'하는 물음인데 그런 물음이 제기된다고 곧바로 종교나 예술이 과학의 자리를 차지할 것이란 생각은 조금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여기에 대해 논의를 굳이 하게 된다면 도구적 의미로서의 과학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군요.

그리고 인간은 이미 생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것을 발명해 내었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문제는 개인의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JongHoon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