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쉬리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FrontPageMenchi/LanguageOther분류선택기능 영화쉬리

영화쉬리는 멜로와 스펙터클로 포장된 보수 반공이데올로기의 표현인가? 단순히 그렇게 볼 수 없다면, 어떤 점에서 그런가?


아시아 시장에서의 폭발적인(?) 흥행 성공을 빗댄 기사에 지나지 않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쉬리는 무척이나 실망한 영화이고 강제규 사단에 대한 불신감이 확고히 자리매김을 하게 만들어준 대표작이다. 쉬리는 액션 + 흥행 보증수표 듀엣 + 애증의 남북관계 + 멜로 + 헐리웃 블록버스터 흉내등으로 점철된 종합선물세트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뭔가 빠진 듯 임팩트가 없는, 영양가 부족한 스토리라인을 음미해 봐도 북한에 대한 이중적 동포애와 주연들의 사랑이 매치되는 것은 우연일 뿐이라는 생각이 한국영화에 대한 무책임한 호의와 배려의 의식을 밀어내고 만다. --zephid

그럭저럭 빚어내긴 했지만.. 북한에 대해서도 여자에 대해서도 무례하기 짝이 없는 영화다. 세상에 정말 그런 병신같은 년이 있다면 총맞아죽어도 싸다는 생각만,,,,-.-;; --아말감

다른 건 몰라도 돈을 벌어들였다는 것, 그리고 한국에서도 헐리웃의 블록버스터를 어설프게나마 따라할 수 있다는 것 만큼은 확실히 보여줬다. --Kwon
블록버스터는 절대로 영화의 장점이 아니며, 장르도 아닙니다. 그리 기뻐할 일은 아닌 것 같군요. 중요한 것은 한국영화의 앞으로의 제작 방향이 결국 헐리웃식 블록버스터의 양산화 시장이 되어버릴 우려입니다. --zephid

몇년간 한국영화가 블럭버스터 따라가려고 몸집만 커지고 있는데, 절대로 좋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몇개 영화만 집중적으로 상영관을 장악하고 돈을 벌고, 나머지 고만고만한 영화들은 완전히 죽을 쑤게 되니까요. 멀티극장을 만들어 상영관은 늘어났지만, 그것은 '잘 나가는 영화'를 우리 극장에서 틀어보자, 의 의미일 뿐 관객들이 더 많은 영화를 볼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아예 정반대죠. 그리고 대개의 영화가 상영시간이 예전보다 짧아져서 여차여차하다가는 보고싶어하던 영화도 못 보고 금방 끝나버리는 일도 많아졌죠. 근래 한국영화의 대형화 경향은 문제입니다. 단순한 거품이란 얘기는 아니지만, 이러다 뭐 하나 삐끗하면 다 같이 망하는 수가 있어요. --아말감

see also 백업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