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철학의 특징 ¶
- 종교적 성격을 강하게 띠는 해방학. 종교와 철학은 일체를 이루며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 해결 추구. (사유방식일 뿐만 아니라 삶의 방식)
- 인식 차원은 물론 실천적인 것 추구.
인간이 마땅히 추구해야할 4가지 가치 ¶
욕망(kama) : 인간의 본능적인 성적 즐거움과 만족을 추구하는 것.
부(artha) : 물질적인 풍요.
의무(dharma) : 윤리적인 질서.
해탈(moksa) : 인간이 유한한 삶을 넘어서서 영원한 삶을 향유하려는 종교적 갈망에 바탕을 둠.
부(artha) : 물질적인 풍요.
의무(dharma) : 윤리적인 질서.
해탈(moksa) : 인간이 유한한 삶을 넘어서서 영원한 삶을 향유하려는 종교적 갈망에 바탕을 둠.
인도철학의 지속성 ¶
베다(Veda, 우파니샤드 포함)가 그들 사상의 토대가 됨. 정통의 재해석, 수정, 보완의 특징을 지닌 철학으로서의 새로운 철학 등장. 단절이 아닌 지속. 인도 현대 사상도 마찬가지.
인도철학 ¶
심신일원론에 바탕하여 사고의 논리적 과정 뿐만 아니라 신체적 훈련을 중요시한다.
심신의 통합을 통해 자아와 우주의 원리와 합일을 최고의 목표로 한다. 그러나 그 우주의 원리와 자신의 자아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며, 그 다양한 의견들이 인도철학을 구성한다.
위의 의견에 대한 반론
1. 모든 사유는 어떻게든 실천을 지향한다. 인도철학만이 그렇다는 것은 정확한 것은 아니다.
2. 인도철학이 정통의 재해석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도 필연적인 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서양철학도 그렇고 중국철학도 그렇다. 해석학은 철학의 방법론 중에 하나이다. 또 현실적으로 지금의 인도철학은 이론적인 면에 있어서는 단절적이고 재생산 구조가 단절되었다. 그 전통이 삶 속에 베어나온 다는 것과 이론이 지속되면서 재생산된다는 것은 엄연히 분리해 볼 필요가 있다.
심신의 통합을 통해 자아와 우주의 원리와 합일을 최고의 목표로 한다. 그러나 그 우주의 원리와 자신의 자아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며, 그 다양한 의견들이 인도철학을 구성한다.
위의 의견에 대한 반론
1. 모든 사유는 어떻게든 실천을 지향한다. 인도철학만이 그렇다는 것은 정확한 것은 아니다.
2. 인도철학이 정통의 재해석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도 필연적인 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서양철학도 그렇고 중국철학도 그렇다. 해석학은 철학의 방법론 중에 하나이다. 또 현실적으로 지금의 인도철학은 이론적인 면에 있어서는 단절적이고 재생산 구조가 단절되었다. 그 전통이 삶 속에 베어나온 다는 것과 이론이 지속되면서 재생산된다는 것은 엄연히 분리해 볼 필요가 있다.
-무명종자
See also 철학으로서의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