좇다와쫓다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좇다'와 '쫓다'의 구분에 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어문 규범


(이하의 내용은 국립국어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복사한 것입니다.)

정희창(鄭熙昌) / 국립국어연구원

“아버지의 뜻을 쫓아서 가업을 잇게 되었습니다.”는 좋은 문장일까? 흔히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지만 이 말은 ‘좇다’와 ‘쫓다’를 구분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좇다’와 ‘쫓다’가 혼동되는 데에는 사전에서 이 둘을 정확하게 구분하지 않았던 것에도 이유가 있다.

“큰사전(1957)”을 보면 ‘좇다’는 “남의 뜻을 따라서 그대로 하다.”로, ‘쫓다’는 “있는 자리에서 빨리 떠나도록 몰다.”와 “급한 걸음으로 뒤를 따르다.”로 되어 있다. 뜻을 따르는 것은 ‘좇다’이고 직접 발걸음을 떼서 따라가는 것은 ‘쫓다’라는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어찌된 까닭인지 “큰사전”에서 분명했던 구분이 그 이후의 사전에서는 지켜지지 않았다. ‘좇다’에 ‘남의 뜻을 따르다’는 뜻 외에 ‘뒤를 따라가다’라는 뜻까지 올리거나 ‘뒤를 따르다’라고만 뜻풀이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아 ‘좇다’와 ‘쫓다’를 구분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좇아가다/쫓아가다’와 ‘좇아오다/쫓아오다’를 예로 들면 “아이가 친구를 좇아간다.”인지 “아이가 친구를 쫓아간다.”인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둘 다 인정한 경우에도 동의어인지 아닌지가 분명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병아리가 어미 닭을 좇아온다.”에서도 마찬가지다. 모두 ‘좇다’와 ‘쫓다’를 분명하게 구분하지 않은 데서 생긴 문제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좇다’와 ‘쫓다’를 구분하는 기준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혼란이 없도록 하고 있다. 그 기준은 ‘물리적인 공간의 이동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공간의 이동이 있을 경우는 ‘쫓다’로, 공간의 이동이 없을 때는 ‘좇다’로 처리한다. 가령 ‘그윽한 눈길로 그 사람의 시선을 좇았다’는 ‘이동’은 있지만 직접 발걸음을 떼서 옮기는 물리적인 것이 아니므로 ‘좇다’가 된다. ‘좇다’와 ‘쫓다’가 쓰이는 예들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좇다’의 예
① 돈과 명예를 좇는 사람.
② 부모님의 의견을 좇아 법대에 진학했다.
③ 이 일은 관례를 좇아 처리하자.
④ 스승의 학설을 좇다.
⑤ 시선은 서편 하늘로 멀어지는 까마귀 떼를 좇고 있었다.
⑥ 선구자의 뜻을 좇아가다.
⑦ 나의 길을 좇아오는 추종자들.
⑧ 아버님의 뜻을 좇자와 제가 가업을 잇겠습니다.

(2) ‘쫓다’의 예
① 사냥꾼이 노루를 쫓았다.
② 숙제를 하자마자 친구들이 있는 놀이터로 쫓아갔다.
③ 강아지가 고양이를 쫓아간다.

'좇다'와 '쫓다'의 구분에 관한 어문규정과는 다른 생각

좇다-지속성, 쫓다-단발성 "좇다/좇아가다/좇아오다" 와 "쫓다/쫓아가다/쫓아오다/쫓아내다" 등을 위의 어문규정에서 제시된 예와 함께 사전에 제시된 예를 통해 찾을 수 있었던 차이점은 '좇다'의 예에서는 지속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쫓다'의 예에서는 단발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어문규정에서 보여준 예만 보았을 때는 "공간 이동의 유무"를 기준으로 구분한다는 논리에 수긍을 했었으나 다음의 예들에서는 곤란을 겪었다. 좇다의 예. "귀찮게 왜 자꾸 좇아오느냐?" "앞서가는 친구를 좇아가다" "종종걸음으로 어머니를 좇아가다" 쫓다의 예. "종종걸음으로 누나를 쫓아가다" "어미 닭을 보고 병아리들이 쪼르르 쫓아가다" 처음에는 잘못된 예일까 싶었는데 이 예가 잘못된 예가 아니라면 이 예까지 포괄할 수 있는 구분점은 지속성과 단발성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맑은

실 상황에서는 ?

무신: 좇다와쫓다는 그래도 기준이 애매한 편이 아니라서 문어적 표현에서는 분명하지만, 실제로 무신의 경우는 쫓다를 많이 사용하고, 좇다를 써야 할 상황에서 따라간다는 표현을 주로 쓴다. 좇다는 일상 대화에서 거의 쓰지 않는다. 발음도 별로이거니와(?) 짜장면자장면과 마찬가지로 된소리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 같다.

DaNew: 저도 무신님과 같습니다. 사실 구어체에서 좇다는 쓰일 일이 별로 없을 뿐더러, 필요하면 따른다지향한다같은 표현을 대신 쓰곤 합니다.
PlusAlpha: 저도 무신님, DaNew님과 같습니다.


발음에 관하여

발음에 대해서는 얘기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굳이 고무신님이 얘기를 꺼냈으니 하나만 묻지요... 18을 읽을 때 어떻게 읽나요? -- kcjun

DeleteMe ? 십 + 팔 로 읽습니다. 강의할 땐 살짝 웃으며 열여덟이라고 읽습니다. :)
제가 발음 이야기를 꺼낸 것은, 좇다는 문어적 표현인 것 같다는 제 추측을 말한 것입니다. 개인적 추측은 논쟁거리가 아니니 하단에 따로 쓴 것이고요.

'17세기에서 18세기까지'라는 문장을 읽을때 '십칠세기에서 십플러스팔세기까지' 또는 '십칠세기에서 열여덟세기'로 읽는다는 말인데 좀 우습지 않나요? 저는 '십칠세기에서 시팔세기까지'라고 읽는데 아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더군요. 그걸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이상한 사람이겠지요. - kcjun
DeleteMe 오해하지 마십쇼. +는 음가 없이 그냥 쓴것입니다. (게시판에서 십팔 걸러내는 경우 이렇게 많이 하지요)
'십칠세기에서 십팔세기까지' 또는 '십칠세기에서 열여덟세기'로 읽는다는 것인데요... 굳이 후자처럼 읽을 필요가 있습니까? '십팔세기'에서 기를 키 또는 끼로 잘못 발음하면 문제가 될 수는 있겠지만(농담이었습니다.), '십팔세기'를 욕으로 들을 사람은 없습니다. '열여덟세기'는 일종의 과공비례라고 생각됩니다. - kcjun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