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자장면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자장면이 '자장면'인 이유


중국음식점에서 파는 검정색의 달짝구수한 소스를 면 위에 뿌린 음식의 공식명칭이 '짜장면'이 아니고 '자장면'인 것은 우리말의 외래어표기법 규정 때문이다. 우리말의 일부가 된 외래어중 경음으로 표시된 것은 순화해야한다는 규정이 있다. 그래서 '뻐스'는 '버스'로, '써비스'는 '서비스'로 써야하는 것처럼 '짜장'은 '자장'이 맞다는 것이다. 중국 일부지방 사람들이 먹는 이 '짜장(灼醬, plum sauce)'은 한자로 구울 '작'자를 쓰며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추장을 먹는 것처럼 일부 중국사람들이 애용하는 음식이다. (이 '작'자는 고대 가락국의 '구지가'에 나오는 '머리를 내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할 때 바로 그 글자이고 중국어 발음으로는 '짜장'이 된다.)
그런데 이 음식은 중국본토에서는 볼 수가 없고 중국인들이 우리나라 사람 입맛에 맞도록 새로 개발한 음식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만 존재한다고 한다. 화교들은 이 음식을 짜미엔(炸麵)이라고 하고 본토 중국인들은 이 음식을 모른다. 그러기 때문에 굳이 이걸 '자장면'이라고 부르기 보다는 개발한 사람들이 처음 불렀던 것처럼 '짜장면'이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마치 영어단어 '점블 jumble'에서 나왔으리라 추측되는 '짬뽕'이란 음식이 '잠봉'이 아닌 것처럼. 그렇게 부르면 왠지 맛도 없을 것 같다. --병준
우리말의 일부가 된 외래어중 경음으로 표시된 것은 순화해야한다는 규정이 있다. 그래서 '뻐스'는 '버스'로, '써비스'는 '서비스'로 써야하는 것처럼 '짜장'은 '자장'이 맞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구체적으로 중국어의 주음부호와 한글대조표에 중 자장(짜장)의 '자(짜)'에 해당하는 교설첨성/zh/을 'ㅈ'으로 표기하도록 명시되어 있을 따름입니다. 발음에 따라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표기하는 것이 맞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설치성 /z/의 경우 'ㅉ'으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짜장면이 자장면인 이유는? 중국에서 들어온 외래어는 두가지 발음이 있는데 하나는 한자를 우리식으로 읽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의 발음을 들여오는 것이다. 짜장의 어원을 찾아보면 작장炸醬(또는 초장炒醬)으로, 자 또는 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우리식으로 읽은 게 아니라 중국의 발음을 차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 炸醬이 zhajiang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이것을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자장이 되고, 여기에 면을 결합하여 자장면으로 읽는다. 그리고 짬뽕의 어원은 일본어 ちゃんぽん으로 짜장면자장면문제와는 무관하다. --DaNew

짬뽕의 한자표기는 雜本이며 일본에서 중국집을 경영하던 화교가 만들어낸 음식이라 합니다. 이 경우 어원은 일본어 짬뽕보다 잡본에 가까와 지겠죠?

(1) 어원을 따져서 중국식으로 발음해야 할까요?
(2) 일본식으로 발음해야 할까요?
(3) 우리가 익숙한대로 부르는게 좋을까요?

표기법의 문제는 원칙의 문제가 아니라 타협의 문제입니다. 한국어 표기의 통일성을 지키면서도,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익숙하고 편하게 쓸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namazaki2


/자장면/ or /짜장면/?

자장면이 표준어입니다.

그런데 자장면이라고 발음하는 사람 못 본 것 같아요. 다들 짜장면 혹은 짱께라고 하던데.. --Pion

{{|외래어에서도 ▲'골인', '더블유더블유더블유', '밧데리', '사이렌', '자장면'은 표기는 'ㄱ, ㄷ, ㅂ, ㅅ, ㅈ'이지만 흔히 된소리로 발음된다. 특히 'ㅅ'이 들어간 '사이렌', '샌드위치', '선글라스'는 90% 이상의 화자들이 된소리로 발음하였다. '자장면'도 약 72%의 화자들이 [짜장면]이라는 된소리 발음으로 내었다. ▲'신라'나 '난로'에서처럼 우리말에서 'ㄴㄹ'이 연이어 올 때 대개는 [실라], [날:로]처럼 발음되지만 '인라인스케이트', '클린룸', '선루프', '스킨로션'와 같은 외래어에서는 대부분의 화자가 [인나인스케이트](81.43%), [클린눔](74.76%), [선누프](77.62%), [스킨노션](74.76%)처럼 'ㄴㄴ'을 연이어 발음하였다.
[http]서울·경기 지역 화자들의 발음 실태를 담아 낸 "표준 발음 실태 조사" 보고서 발간 중에서 DeadLink?
|}}
의외로 자장면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28%나 됩니다. --DaNew
28%면 거의 서너명중 한명 꼴이로군요. 의식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바로 가까이 ChatMate의 어머니께서 명확히 '자장면'이라고 발음하시더군요. 좀 놀랐습니다. - ChatMate

표준어에 대한 공식적인 규정은 88년 발표한 문교부 고시 제88-2호(1988.1.19.) '표준어규정'과 90년 발표한 '표준어 모음 2'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짜장면-자장면은 그 두 곳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는 단어입니다. "자장면"을 표준어라고 주장할 근거는 없습니다. 누가 "자장면"이 표준어라고 그러면 아니라고 말해주세요 --ChatMate

표준어를 선별하고 규정하는 최종 유권 기관이라 할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짜장면"이 아닌 "자장면"이 표준어라고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어느 쪽이 더 옳은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자장면"을 표준어라고 주장할 근거는 있는 것이지요.
자장면은 표준어 규정에 따른 표준어가 아니고,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바른 표기' 정도로 보는게 옳겠지요. 국립국어연구원에서도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대로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라고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ChatMate

토끼군은 "짜장면"이 더 옳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실제 사용자의 수도 "자장면"보다 훨씬 많을 뿐만 아니라 "자장면"에서 연상되는 "자장가"와 같은 낱말을 어찌 할 방법이 없습니다. "짜-"로 시작할 경우 이러한 낱말을 최대한 피할 수 있을 것이며 "짬뽕"과 같은 다른 음식 이름 붙이는 방법과 같기 때문에 통일성도 유지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짜장면과 짬뽕의 이름 붙이는 방법은 전혀 다릅니다. 각각 중국어 발음과 일본어 발음에서 유래된 발음이기도 하고, '짜장-면' 처럼 '짬뽕-면'이라고 하지도 않지요.

단지 된소리발음이라는 이유때문에 "자장면"이라고 불러야 된다면 bab2는 죽을때까지 "짜장면"이라고 부를 생각입니다. "자장면"이 표준이 된 지 얼마 안됐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배울 당시에는 교양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현대 서울말 로 알고있고, 이렇게 고유명사인 문제에서는 많이 사용하는 쪽이 표준어라 생각됩니다만. 모든 고유명사에 규칙을 적용한다는것이 우스울 뿐입니다. 외래어의 경우 무의식적으로 한글발음법칙을 무시하는 이유는 영어를 알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영어를 우리말처럼 써놓고 교육한다면 우리말로 발음할 것입니다. 외국어를 발음할때는 외국어 발음방법으로, 고유명사는 고유의 발음대로 발음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hirameki

자장면이 표준어라고 밝힌 것이 아니라 단지 그것을 '표준어로 정하자' 라고 한 것에 불과합니다. 밝힌다는 것은 기존부터 이미 존재해왔던 어떤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경우에 한해서 할 수 있는 행위가 '밝힌다'는 것이고, 이 짜장면이냐 자장면이냐 하는 논쟁에 있어서는 밝힌다가 아니라 '새롭게 정한다' 따위의 의미로 받아들여야합니다. 즉 우리가 원래부터 써오고 있던 것은 어디까지나 '짜장면'이었지 자장면이 아니었다는겁니다. 최근에 개정되기 이전에는 국어사전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자장면'이라는 듣도보도 못한 단어가 지금 와서 갑자기 표준어라고 주장되고 있는 것 자체가 사실 우스운 것입니다. 국어사전을 펼쳐들고 지금이라도 한 번 찾아보십시오. 어디에 '자장'이라는 단어가 있는지. --
국어사전을 펼쳐들고 찾아보니 자장이라는 단어는 나오는군요. 다만 국어사전에 등재된 '자장', '짜장'이란 단어는 모두 음식과는 무관하니, 음식으로서의 자장은 사전에 없다는 님 말씀이 맞는 이야기겠지요.
사실 자장면은 표준어 규정에 따른 표준어가 아니고,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바른 표기' 정도로 보아야 합니다. 그때문에 통상의 표준어 논란과는 조금 경우가 달라지게 되고요. 우리가 짜장이라고 부르기 전부터 작장炸醬에 해당하는 중국어 발음은 존재해 왔고, 중국어의 해당 부분 음소 /zha/에 대한 표기를 거센소리가 아닌 예사소리로 하도록 정해놓은 것입니다. '자장' 문제는, 이를테면 Fantasy를 '환타지'라고 부르는 것이 익숙하다고 하여 ㅎ으로 표기하게 되면, 같은 F 발음인 'FIFA'도 '휘화'로, Friend 도 '후랜드'로 표기해야 하기 때문에 곤란한 것과 비슷한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 규정은 사실 85년에 제정되어 86년 1월부터 시행된 것으로, 이미 20년 가까이 전부터 유효한 규정이었습니다. 이 말은, 어쩌면 그만큼 일반인들의 우리말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는 이야기가 될런지도 모르지요. 현실과 동떨어진 규정이라고 무작정 단정짓기 전에, '왜 그렇게 되었는지'도 한번쯤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겁니다. DaNew 님도 앞서 말씀해 주셨지만, 2003년 올해 발간된 국립국어연구원 [http]1|3 표준 발음 실태 조사결과도 한번 생각해볼만한 내용입니다. --ChatMate
예전에 짜장면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짜장면의 원류를 찾아 중국 '작장면'까지 갔는데 전혀 다른 음식이더군요. '짜장면'은 외래어가 아니라 한국에서 만들어진 (또는 완전히 다른 것이 된) 중국풍 음식이고 따라서 '짜장면의 원형이 작장면이니 원형을 좇아 자장면이라고 쓰는 것이 옳다'라고 말하는 건 옳지 않다고 봅니다. -- bloodlust
짜장면자장면 문제를 돈가스(통카츠)와 포크 커틀릿이 서로 다른 음식이라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본다면 bloodlust 님의 의견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일본인이 만든 기무치, 카루비는 실제로 이미 원형의 김치와 갈비에서 멀어진 서로 완전히 다른 음식이고, 따라서 일본인이 만든 제품은 기무치, 카루비로 부르고 일본어와 영문으로 표기하는 것도 인정해야 할런지도 모르겠습니다. --ChatMate

검과 껌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외래어 표기법이라면 검이라고 표기하는게 맞을듯한데 모두들 껌이라고 발음하고 표기도 그렇게 하고 있잖아요. --nyxity
상당히 일리가 있는 말씀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찾아보니 외래어표기법을 따르면 검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을텐데, 국어사전에는 껌으로 등재되어 있군요. 연세한국어사전은 물론, 국립국어연구원의 표준국어대사전 역시 그렇습니다. 같은 두 사전에서 짜장면은 '자장면의 잘못'으로 나오는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조금 더 알아봐야겠군요. --ChatMate
껌 얘기가 나오니 자일리톨 껌이 생각이 납니다. 크실리톨 검이 옳은 표기가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해봤는데 다른 분의 의견은 어떠실지 궁금하네요 --씨엔
크실리톨이 맞는 것 같습니다. YahooEngDic:xylitol

말의 표준이란 결국 더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 표준이 아닐까요? 자장면이라고 쓰는걸 보면 '노랫방'이 생각나더군요. 이런저런 법칙을 따져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노랫방이 규칙에 맞다고 했지만 완벽하게 무시당하고 노래방이 표준어로 자리잡았죠. -- kall
말은 논리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논리로서 설명되지 않은 상황이 많아지면 예외조항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면 우리가 언어 생활을 하는데 거추장스러울 뿐입니다. 우리말의 변화를 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요한 것은 일관된 논리라고 봅니다. --씨엔

무조건 많은 사람이 쓴다고 그것을 표준어로 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맞춤법을 완전히 파괴하는 외계어를 단지 많은 사람이 쓴다는 이유로 표준어로 정하는 것에 찬성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말의 일부가 된 외래어중 경음으로 표시된 것은 순화해야한다는 규정은 우리말이 지나치게 경음화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말이 최근들어 지나치게 경음화되어 가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말이 지나치게 경음화 되어 있다면 한국어를 생판 모르는 사람이 듣기에 매우 거북하게 들릴 것입니다. ALee는 단지 고리타분하고 시대에 뒤쳐진 외래어 표기법에 맞추기 위해서 자장면이 표준어가 된 것이라면 반대합니다만, 우리 말을 좀더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서라면 찬성합니다. 솔직히 저 역시 자장면 보다는 짜장면이 훨씬 익숙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계속해서 짜장면 이라고 부르더라도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자장면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ALee

'짜장면'이라고 발음해야 '짜장'의 그 하고 끈적한 느낌이 살아난다고 느끼는 사람은 저 뿐인가요? '짜장면'을 '자장면'으로 하는것은 일상 생활과 동떨어진 인위적인 언어 변형이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우리 말과 글은 세계에서 보기 드물게 예사소리(평음)과 된소리(경음)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분명히 된소리도 우리 말인데 '경음화'가 나쁘다는 확실한 근거는 무엇인가요? 우리말을 생판 모르는 외국인이 지나친 경음화된 우리말에 과연 거북해할까요?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에 경음이 얼마나 많습니까. 영어만해도 구분이 안되어서 그렇지 그대로 받아적으면 은근히 많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리가 있다해도 외국인들 거북하게 들릴정도로 심화되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 유군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