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용(Dragon)이라는 말이 한국어. 중국어. 일어. 영어 외에도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중국 문화권이라면 당연히 "龍"이 널리 퍼져 있을 테고, 서양 문화권이라면 중세 전설에 나오는 Dragon이 퍼져 있겠죠.
코모도 섬의 왕도마뱀을 현지에서 "용"이라고 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이런 걸 보면 동남아 쪽에도 "용"에 대한 어휘가 있는 거겠죠? --Puzzlist
그렇다면 이렇게 이 각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요? '사과' 같은 경우에야. 어느나라든 사과가 있으니 그렇다 쳐도. 용은 왜 각 언어에 공통일까~?
제 생각에 dragon이 용이 되었거나 용이 dragon으로 된 것이지 원래부터 dragon과 용이 같은 것을 지칭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희 학교 비천당의 용과 슈렉에서 봤던 그 dragon인지 용이랑은 모양부터 틀리거든요...... --너훈아
음. 그래도 꽤나 유사하지 않나요? 영어에 봉황이 없고. 한자에 유니콘이 없지만. 용을 Dragon 이라 번역하는 데에는 별 이견이 없을 것 같습니다...
鳳凰과 비슷한 건 Phoenix, Unicorn과 비슷한 건 麒麟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Puzzlist



동양문화권에서의 '용'과 서양문화권에서의 Dragon 은 그 상징하는바가 다르다. 사람의 상상력이라는것이 다 거기서 거기이기때문에 상이한 상상의 동물을 비슷하게 그릴수도 있고, 혹은 문화의 교류과정에서 상상속의 동물 그림이 이리저리 유포되면서 지역에 따라서 그것이 상징하는 바가 달라졌을 가능성도 있다.

동양에서의 용의 존재의미는 여기서 생략하고, 서양의 경우 서양사람들에게 용은 가뭄과 서리 등으로 피해를 주는 존재로 여겨졌다. 그런 용이 가지고 있는 보배는 인간에게 풍요의 상징이 되었다. Ad de Vries 아트 드 브리스는, 용은 인간의 본성을 상징하고, 대모신(magna mater)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리스어 'drakon'은 'derkomai' --나는 똑똑히 본다의 의미로 쓰이며, 기독교에서 악룡인 악마 Lucifer 는 라틴어로 빛을 가져오는 자라는 뜻이다. 독일어 Drache 는 용, 악마의 개념이며 파생어 Drachen 은 하늘을 나는 연이다. 이상은 Freefeel:한국문화상징사전에 잡다하게 나온 내용을 간단히 약간만 추려본것이다.
Dracula도 Dragon에 어원을 두고 있죠.
아더왕이 그날 뽑은 칼은 Pan Dragon을 결정하는 역할을 했다. 정확히 어떤 의미일지는 고구해본 바 없다. 지금도 싸구려 유람 패키지로 영국 그쪽 지방엘 가면 스스로 팬 드래건이라고 칭하면서 노는 인간이 있다. 방송에도 나오더라.
Pan Dragon이 아니라 Pendragon이죠. 웨일즈어로 pen은 머리를 뜻한다고 합니다. 우두머리용. 웨일즈 쪽의 High King을 가리키는 호칭입니다.
Arthur Pendragon의 아버지는 Uther Pendragon으로 알고 있습니다. Pendragon은 당시 왕의 성씨이거나 왕의 피가 흐르는 혈통을 뜻하는 것일지도. -- Nairrti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준 Prometheus가 '생각하는 사람' 이라는 뜻이라 합니다. 결국 심장을쪼이고 돌을 움직이는 형벌을 받게 되었는데 이것도 긍정적 어원이지만 부정적 뜻을 가지게 된 경우와 관계가 있을까요? -- ziozzang


사람이름에 龍자를 쓰는 경우가 간혹있다. 이 경우, 이름이 너무 크다고 말들하곤한다. 바뜨, 부르긴 참 좋다. 죽겠지..^^; 이름만큼 큰 사람이 되고자 노력중인 yong27

징기스칸이 서양을 처들어가기 전에도 용이란 개념이 있었는지 궁금하네요. 중세 신화에 나오는 기사들이 용기를 시험하는 용은 몽고인들을 상징하는 것 아니었습니까? --아무개

동양의 용

동양에서는 용은 비늘가진 동물(鱗蟲) 중의 우두머리로서 그 모양은 머리는 낙타, 뿔은 사슴, 눈은 토끼, 귀는 소, 목덜미(項)는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鷹), 주먹(掌)은 호랑이(虎)와 비슷하며, 양수인 9가 두 번 곱해진 81개의 비늘이 있고, 그 소리는 구리로 만든 쟁반(銅盤)을 울리는 것 같고, 입 주위에는 긴 수염이 있고, 턱 밑에는 명주(明珠)가 있고, 목 아래에는 거꾸로 박힌 비늘(逆鱗)이 있으며, 머리 위에는 박산(博山)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처럼 각 동물이 가지는 최고의 무기를 모두 갖춘 것으로 상상된 용은 그 조화능력이 무궁무진한 것으로 믿어져 왔다. 용이 가진 이러한 성격 때문에 흔히 왕을 용으로 비유하였다.

용의 발가락은 사용자의 신분에 따라 달라졌다. 발가락이 다섯개인 오조룡(五爪龍)은 천자 즉,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제후는 발가락이 네개의 용을 사용할 수 있었고 그 이하 사람들은 세개의 발가락을 가진 용을 그리거나 가질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제후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임금이 네개의 발가락을 가진 용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궁궐에는 거의 대부분 다섯개의 발가락을 가진 용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지금의 궁궐의 목재부분 특히, 임금이 사용하는 건물들은 고종이후에 재건되었기 때문이다다. 스스로 황제라 칭한 고종은 궁궐을 황제의 격에 맞춰 건축하였다. 각 궁궐의 법전을 비롯하여 임금이 상용하던 건물에는 거의 모두 용을 형상화한 것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법전 천정의 용(쌍룡희주 雙龍戱珠)이다. 이것의 발가락 수를 세는 것도 궁궐을 돌아보는 큰 재미이다. 경복궁의 사정전에 있는 용은 발가락이 넷인 반면 근정전의 용은 발가락이 일곱개이다. 그 까닭은 알려지지 않고 있는데 대부분의 의견은 정상적이지는 않다는 것이다.


근정전의 쌍룡희주

잡담

동양의 용은 약간 긴 형태의 수염이 있구, 발 2개 팔 2개의 드래곤 볼의 용이 일반적이구요.
서양의 용은 우리가 말하는 공룡에 날개를 단 형태임. ( RPG 게임에 나오는 용들) --fallskya

추청 하나 : 서양 용은 일반적은 공룡 화석을 보고 상상했을 거라 생각하고요. 동양의 용은 용오름 현상(토네이도)을 보고 상상한 것 같음. 참고로 용오름 현상을 우리나라에서 찍은 동영상이 돌고 있던데 한번 보세요. --fallskya

동양의 용과 서양의 드래곤은 같다고 보기 힘들다. 개념적인 차이를 보건데, 서양의 드래곤은 그 자체로 하나의 종을 이루고 있으며 사악하고 탐욕스럽다. 그 형태도 날개 달린 도마뱀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반면 동양의 용은 인간이 도를 닦아 깨달으면 신선이 되는 것처럼 동물이 도를 닦아 깨달으면 용이 되는 것이다. 이 깨달음의 증거가 여의주이며 이러한 용은 바람과 비를 부릴 수 있다. 그 형태는 일반적으로 뱀의 형태(교룡)를 하고 있으며(동양의 용은 종이 아니기 때문에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날개가 없어 비행은 바람을 부리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승천하지 못한 뱀을 이무기라고 부르거나 유기에서 도를 닦는 동물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즉, 서양의 드래곤은 괴물의 개념이고 동양의 용은 신의 개념이다. --Deadcode
신채호 선생의 소설 "용과 용의 대격전"에도 '미르'와 '드래곤'이 나오지요. --서상현

이영도씨의 소설 '드래곤 라자' 뒤에 해설을 보면 동양과 서양간의 용-드래곤 차이에 대해서 설명을 간략하게 해 놓았더군요. 동양의 용은 신비스럽고, 또 신적인 존재로 표현되지만, 서양의 드래곤은 악의 화신, 퇴치의 대상 정도로 여겨진다고요..
덧붙여 인간이 용 혹은 드래곤의 개념을 상상하게 된 모티브는 신비한 이미지를 지닌 두 종의 생물, 새와 뱀의 이미지를 합성해 보면서라고 합니다. --Astro

도깨비 역시 동서양을 막론하고 어느 문화권에서나 등장한다.
Gawiwiki:가위귀신 역시 동서양을 막론하고 어느 문화권에서나 등장한다. (See: 가위눌림)

see also 게임속의용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