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우리나라저희나라의 내용을 정리한 겁니다. 한다고 했는데 빠진 게 많을 테니 직접 수정해 주세요. --Raymundo
우리나라저희나라의 토론 내용을 우리나라저희나라토론으로 옮기고 다큐먼트는 합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저희나라에 두는 것이 현재 토론이 많은 페이지들의 관례인 것 같습니다. -- 박영록
우리나라저희나라의 토론 내용을 우리나라저희나라토론으로 옮기고 다큐먼트는 합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저희나라에 두는 것이 현재 토론이 많은 페이지들의 관례인 것 같습니다. -- 박영록
이의가 없다면 제가 이렇게 다시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 박영록
DeleteThisPage 우리나라저희나라, 우리나라저희나라토론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한 "우리", "저희", "낮춤말"의 정의 ¶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
우리03「대」
「1」말하는 이가 자기와 듣는 이, 또는 자기와 듣는 이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우리가 나아갈 길/우리 둘이 힘을 합치면 못할 일이 뭐가 있겠니?/어머니, 우리 오늘 도봉산에 갈까요?/선생님, 우리 과 경쟁률이 제일 높대요.§
「2」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우리 먼저 나간다. 수고해라./언젠가 자네가 우리 부부를 초대한 적이 있었지./우리가 당신한테 무슨 잘못을 했다고 이러시오?§
「3」(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 ¶우리 엄마/우리 마누라/우리 신랑/우리 아기/우리 동네/우리 학교 교정은 넓지는 않지만 깨끗하다.§
「준」 <3>울04. 「낮」 <2><3>저희01〔1〕〔2〕. 우리<용가>
우리03「대」
「1」말하는 이가 자기와 듣는 이, 또는 자기와 듣는 이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우리가 나아갈 길/우리 둘이 힘을 합치면 못할 일이 뭐가 있겠니?/어머니, 우리 오늘 도봉산에 갈까요?/선생님, 우리 과 경쟁률이 제일 높대요.§
「2」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우리 먼저 나간다. 수고해라./언젠가 자네가 우리 부부를 초대한 적이 있었지./우리가 당신한테 무슨 잘못을 했다고 이러시오?§
「3」(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 ¶우리 엄마/우리 마누라/우리 신랑/우리 아기/우리 동네/우리 학교 교정은 넓지는 않지만 깨끗하다.§
「준」 <3>울04. 「낮」 <2><3>저희01〔1〕〔2〕. 우리<용가>
저희01 -히 대」
「1」'우리03〔2〕'의 낮춤말. ¶저희를 살려 주는 셈 치고 한 번만 용서해 주십시오./저희 선생님은 참 자상하세요./저희 때문에 선배님이 고생하시는군요.§
「2」'우리03〔3〕'의 낮춤말. ¶저희 회사에서 이번에 새로 개발한 신제품입니다. 꼭 한번 사용해 보십시오./언제라도 저희 집에 들러 주십시오.§
「3」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들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아들 내외가 또 사정을 하러 집에 찾아 왔지만 저희가 뭐라 해도 내 마음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동생들은 고학을 한답시고 각자 능력껏 활동들을 해서 잡비 정도는 저희들이 벌어 썼지만 그렇다고 만기의 짐이 덜릴 수는 없었다.≪손창섭, 잉여 인간≫ §저희<석상>←저+희
「1」'우리03〔2〕'의 낮춤말. ¶저희를 살려 주는 셈 치고 한 번만 용서해 주십시오./저희 선생님은 참 자상하세요./저희 때문에 선배님이 고생하시는군요.§
「2」'우리03〔3〕'의 낮춤말. ¶저희 회사에서 이번에 새로 개발한 신제품입니다. 꼭 한번 사용해 보십시오./언제라도 저희 집에 들러 주십시오.§
「3」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들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아들 내외가 또 사정을 하러 집에 찾아 왔지만 저희가 뭐라 해도 내 마음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동생들은 고학을 한답시고 각자 능력껏 활동들을 해서 잡비 정도는 저희들이 벌어 썼지만 그렇다고 만기의 짐이 덜릴 수는 없었다.≪손창섭, 잉여 인간≫ §저희<석상>←저+희
낮춤-말낟--「명」『어』
「1」사람이나 사물을 낮추어 이르는 말. '저 사람'에 대하여 '저 자'라고 하는 따위이다.
「2」상대를 높이는 뜻에서 자기와 자기가 속한 무리를 낮추어 이르는 말. '나'를 '저', '우리'를 '저희'라고 하는 따위이다.
「3」상대편을 높이는 뜻이 없이 쓰는 말. 주로 '하게체', '해라체', '해체' 따위를 쓴다.
「참」 높임말.
|}}
「1」사람이나 사물을 낮추어 이르는 말. '저 사람'에 대하여 '저 자'라고 하는 따위이다.
「2」상대를 높이는 뜻에서 자기와 자기가 속한 무리를 낮추어 이르는 말. '나'를 '저', '우리'를 '저희'라고 하는 따위이다.
「3」상대편을 높이는 뜻이 없이 쓰는 말. 주로 '하게체', '해라체', '해체' 따위를 쓴다.
「참」 높임말.
|}}
위에 따르면, "우리"가 "화자와 청자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 (우리03-1) 여기에 해당하는 "저희"라는 단어는 없다.
가능하다 ¶
"나라"이기 때문에 낮추면 안 된다 ¶
5|2 국립국어원의 답변의 내용:
{{|
'우리'라는 대명사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지 않고 자신과 그 주위의 사람을 집단적으로 가리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여 함께 이르는 것입니다.
(1) 우리 동네에는 슈퍼마켓이 매우 많다.
(2) 우리 그만 놀고 집에 가자.
{{|
'우리'라는 대명사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지 않고 자신과 그 주위의 사람을 집단적으로 가리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여 함께 이르는 것입니다.
(1) 우리 동네에는 슈퍼마켓이 매우 많다.
(2) 우리 그만 놀고 집에 가자.
그런데 '우리'는 화자가 청자를 포함하지 않고 자신과 그 주위의 사람을 집단적으로 가리키는 경우에만 '저희'라는 겸양어가 있습니다. 화자가 자신의 집단을 낮춰 말할 수 있으나 청자를 포함하는 집단을 낮춰 말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1) 저희 동네에는 슈퍼마켓이 매우 많습니다.
(2) *저희도 이제 집에 가시지요.(*는 잘못된 문장이라는 뜻임.)
(1) 저희 동네에는 슈퍼마켓이 매우 많습니다.
(2) *저희도 이제 집에 가시지요.(*는 잘못된 문장이라는 뜻임.)
'우리나라'라고 말할 때의 '우리'가 어떤 뜻으로 쓰이는지를 살펴보면, '저희 나라'라는 말이 맞는지 틀린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부지런하다."라고 말할 때 '우리'는 청자를 포함합니다. 대개의 경우 한국인인 화자가 한국인인 청자에게 이런 말을 한다고 하면 '우리'는 청자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고 따라서 이때의 '우리나라'는 '저희 나라'로 바뀔 수 없습니다.
그런데 문의하신 경우처럼 한국인인 화자가 외국인인 청자에게 이런 말을 한다면 그때의 '우리나라'는 '저희 나라'로 낮추어 말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때의 '우리'는 '청자'를 포함하지 않는 '우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때에도 '우리나라'를 '저희 나라'로 낮추어 말할 수 없습니다. '나라'나 '민족'과 같은 집단은 비록 청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한 구성원이 낮추어 말하기에는 너무 클뿐더러 또한 다른 집단과 다른 어떤 절대성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겸양을 허용치 않는 '우리나라'로 써야 하는 것입니다.
|}}
그런데 문의하신 경우처럼 한국인인 화자가 외국인인 청자에게 이런 말을 한다면 그때의 '우리나라'는 '저희 나라'로 낮추어 말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때의 '우리'는 '청자'를 포함하지 않는 '우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때에도 '우리나라'를 '저희 나라'로 낮추어 말할 수 없습니다. '나라'나 '민족'과 같은 집단은 비록 청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한 구성원이 낮추어 말하기에는 너무 클뿐더러 또한 다른 집단과 다른 어떤 절대성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겸양을 허용치 않는 '우리나라'로 써야 하는 것입니다.
|}}
"저희 **"라는 표현은 "**"를 낮춘다. ¶
"저희 **"라는 표현은 "저희"에 속하는 사람 모두를 낮춘다 ¶
{{|
"저희 **"라는 표현은 "저희"에 해당하는 사람 모두를 낮추기 때문에, 그럴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
"저희 **"라는 표현은 "저희"에 해당하는 사람 모두를 낮추기 때문에, 그럴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
- 이것은 사전의 "낮춤말-2"의 뜻에 의한 것이다.
- 박영록은 위 주장에 따라서 청자가 화자보다 높은 경우라도 "저희 회사", "저희 학교" 등을 항상 쓸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사전상으로 두 다소 모순된 경우 중 어느 것이 우선인가에 대한 손을 들라면 전 '저희 01-1' 쪽입니다. 왜냐면 '우리'를 쓰면 D는 단지 A가 자신을 낮추지 않아서 높임 받지 않은 것이지만 '저희'에서 B,C는 낮춰진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지켜진 예의의 범위는 '우리'의 경우가 더 넓다고 생각하거든요. 상줘야할 때 안 주는 것보다 벌 주면 안되는데 주는 것이 더 나쁘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 주제와는 약간 거리가 있지만 전 낮춤말은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안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도 하구요.
|}}
- Raymundo는 다음의 이유로 "저희 회사"가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 어쨌거나 "우리"가 아니면 "저희"를 써야 된다. 위에서 봤듯이 나(A)는 낮추면서 B와 C는 낮추지 않을 다른 대안이 없다.
- 대화라는 것이 서로 뭔가 좋은 결과를 얻자고 하는 일일진데 (시비거는 경우를 제외하면), 이왕이면 듣는 사람이 기분 좋은게 좋지, 자리에 있지도 않은 B와 C눈치 보느라고 대화 당사자인 D를 기분 상하게 할 필요가 없다.
- 반대의 예로, 선배 교수가 후배 교수에게 "우리 연구실 학생들은 말이지~"라고 하면, 후배 교수는 그 "우리"에는 선배교수와 그 지도학생들이 포함될 텐데, 학생들을 자기에게 낮춰말하지 않았다고 불쾌해해야 할 것 같지도 않다. (A,B,C)->D 관계에서 B와 C만 따로 낮추지 않는 것은 문제가 안 되는데, A가 자신을 낮추느라고 B와 C까지 같이 낮춰진 걸 가지고 문제삼을 것도 없어 보인다.
"우리나라"라는 말 자체가 하나의 단어다 ¶
이것도 국립국어원의 설명 중에 있다. 4|2 여기에 의하면:
{{|
‘우리나라’는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로서, 한 단어로 굳어져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것을 표제어로 올려 놓았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붙여 쓰되 그 외의 ‘우리’가 쓰인 말들은 띄어 써야 합니다.
|}}
실제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
우리-나라
「명」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 ¶우리나라 사람/우리나라 풍속/우리나라 고유의 악기인 가야금/우리나라의 역사는 반만 년에 이른다./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 입에 맞을지 모르지만 많이 드십시오. §
|}}
{{|
‘우리나라’는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로서, 한 단어로 굳어져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것을 표제어로 올려 놓았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붙여 쓰되 그 외의 ‘우리’가 쓰인 말들은 띄어 써야 합니다.
|}}
실제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
우리-나라
「명」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 ¶우리나라 사람/우리나라 풍속/우리나라 고유의 악기인 가야금/우리나라의 역사는 반만 년에 이른다./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 입에 맞을지 모르지만 많이 드십시오. §
|}}
- 이 경우는 띄어쓰기 없이 "우리나라"라고 한다.
- Raymundo는 이 설명이 제일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의 자체에 "우리 한민족이 세운.."이라는 것은 일종의 재귀적인 설명인 것 같아 불충분해 보인다.
Raymundo ¶
분명한 것은, 표준국어대사전의 "우리","저희","낮춤말" 세 단어의 정의만 가지고는, "화자가 자신은 낮추면서 자신과 같이 소속되어 있는 다른 제3자는 낮추지 않은 채로 청자에게 말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적어도 "우리"나 "저희" 둘 중 어느 것도 맞지 않는다.
결국 높임과 낮춤이 세분화되어 있는 한국어의 특성과, 화자-청자-제3자 사이의 높낮이를 명확히 규정하기 애매한 상황이 합쳐져서 이런 문제가 생긴다고 본다. 예를 들어
- 단 둘이서 대화하고 아무도 듣지 않는 경우
- 두 명의 한국인 학생과 한 명의 외국인 교수가 한 자리에서 얘기를 나누눈데 한 학생이 "저희 나라에서는...합니다."라고 하는 경우
- 한국인 연예인이 외국인 기자들 앞에서 "저희 나라"라고 했는데 그 말을 수백만 한국인 시청자가 TV를 통해서 같이 듣는 경우
마족 ¶
마족은 마족이 속한 집단을 다른이에게 설명해야 할 경우 대부분 우리란 표현을 사용합니다. 마족은 집단 외부인에게 그 집단을 이야기해야 할 경우라면 "그 집단을 대표"해서 이야기 한다는 느낌을 가지기에 우리란 표현을 좋아합니다. 그 집단을 자랑스럽게 여기기에 낮추고 싶은 마음이 없습니다. 물론 집안 어른들에게 설명해야 할 경우가 있을 때는 정식 명칭을 처음에 한번 사용하고 그 후로는 학교/회사/동아리 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저희의 반대말은 너희가 아닐까요? 그렇다면 저희라하는 순간 청자는 화자 집단을 너희라 부를수있는 거 아닌가요?
박영록 ¶
상대를 높여야할 때 높이지 않는 것은 '공손하지 않은 표현'일수는 있지만 '잘못된 표현'이라고까지 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낮추지 말아야할 때 낮추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그리고, 다큐먼트모드로 정리했는데도 너무 상세한 내용들을 끌어와서 정리가 잘 안되는 감이 있네요.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면 어떨까요?
우리 나라에서의 우리의 의미를 사전상의 의미 중 어느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우리의 의미
- 나 + 청자, 혹은 둘을 포함한 집단
이 경우는 상대를 같이 낮추기 때문에 '저희'를 쓸 수 없다.
- 나 + 나와 관련된 집단
이 경우가 가장 논란 거리. 표준국어대사전상으로는 '우리'를 이 의미로 쓸 때는 화자가 청자보다 낮지 않을 때라고 규정한다. 한편, '저희'라는 표현은 같은 사전에서 화자가 대상 집단을 낮출 수 있을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둘 중 어느 것을 택하느냐에 따라 '저희'가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다.
- 나의
이렇게 해석한다면 '저희'도 가능한 표현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와 같은 표현에서의 우리를 3번으로 해석하는 것이 과연 2번으로 해석하는 것보다 타당한가 하는 문제가 있다.
특정 단어 앞에서만 가능합니다. 우리(울) 엄마, 우리(울) 아빠 등. 2번으로의 해석은 곤란하지 않을까요? --마족
- 나 + 청자, 혹은 둘을 포함한 집단
- 나라는 특별한가?
모나드 ¶
- 선배에게 아버지를 소개하는 상황.
{{| 이 분이 저희 아버지세요. |}}
여기서의 '저희 아버지'라는 말은 아버지를 낮추는 말도 아니고, 나의 형제를 낮추는 말도 아니다. 오로지 나 자신만을 낮추는 말이다.
- 낯선 외국인에게 조국을 소개하는 상황.
{{| 저희 나라에서는 예의를 중시합니다. |}}
'저희 아버지'에서의 '저희'와 '저희 나라'에서의 '저희'는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상황은 틀리지만 '저희'라는 단어 자체는 완전히 똑같은 의미로 쓰였다.
- 따라서, '저희 나라'에서의 '저희'는 나라를 낮추는 말도 아니고, 나 이외의 다른 사람을 낮추는 말도 아니다.
- 또한, '저희 나라'라는 표현이 틀렸다는 논리는 (우리3-3)과 (저희1-2)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작성되었다.
그 근거는 다음의 링크에 있다.
- 가나다한글사랑
- 이 페이지 상단에 있는 '국립국어원의 답변'부분
- 가나다한글사랑
- 결론적으로, 현재의 표준문법체계에서는 '저희 나라'라는 표현의 사용을 막을 근거가 없다. 논리를 개선하거나, '저희 나라'라는 표현도 허용해야 한다.
'우리 아들/저희 회사/저희 가족' 등 두 용법의 사용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