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이란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The Seven Pillars of Life

2002년 3월22일자 Science 지에 실린 기사. Author는 Daniel E. Koshland Jr 이며. Department of Molecular and Cell Bi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의 교수로 재직중이고, 사이언스지의 Former Editor-in-Chief 이다.

생명이란 무엇이며 그 정의는 무엇일까?

{{|
Is an enzyme alive? Is a virus alive? Is a cell alive? |}}

라는 질문은 정말 대답하기 힘든 것들이다. 저자가 참여한 생명과학의 엘리트들의 컨퍼런스에서 누군가가 다음과 같은 대답을 했다고 한다. (아마도 이 대답의 주인공은 리차드도킨스 본인 아니면 그 충실한 추종자가 아니었을까 하는 의혹이 든다...)

{{|
The ability to reproduce--that i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life |}}

이기적유전자의 관점에서 볼 때 정확한 지적이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대답은 어떠한가?

{{|
Then one rabbit is dead. Two rabbitsa male and femaleare alive but either one alone is dead |}}

또 한가지 in vitro 에서 복제되는 DNA분자와 Enzyme 들의 혼합물은 살아있는가?

결국,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대답은 결코 쉬운일이 아니다.

다른 많은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저자는 일곱가지의 생명을 떠 받치는 주춧돌 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각 주춧돌의 앞글자만을 따서 Piceras라는 이름을 지었다. The Goddes Of Life....생명의 여신이다.

1. Program : Organized된 Plan으로서의 프로그램. 지구상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은 DNA 안에 내장되어 있다.

{{|
By program I mean an organized plan that describes both the ingredients themselves and the kinetics of the interactions among ingredients as the living system persists through time |}}

2. Improvisation : 살아있는 개체가 자신의 목적을 위해 환경전체를 바꿀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생명체는 자신의 프로그램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Mutation과 Selection이 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3. Compartmentalization : Enzyme에 의한 반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외부와 내부를 격리시켜 필요한 요소들은 Concentrated 시켜야 한다. 즉 우리에게 Container가 필요한 이유는 Concentration과 세포(혹은 생명체)내부의 Arrangement를 유지하고 외부로부터의 보호때문이다.

4. Energy : 생명은 움직이며, 이를 위해선 Open된 시스템이어야만 한다. 지구상의 생명은 태양으로부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5. Regeneration : 열역학법칙은 생명체에게도 적용된다. 단지 생명은 무생물에 비해 그 속도를 늦추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생명체 역시 서서히 낡게 되며 이를 위해 Regeneration System을 필요로 한다. 심장의 박동과, 지속적인 단백질 합성, 세포분열등이 이에 속한다.

6. Adaptability : Improvisation역시 적응의 일종이다. 그러나 Improvisation의 속도는 매우 느리다. Improvisation은 프로그램 자체를 바꾸는 것이고, Adaptatibility 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Behavioral Response를 의미한다.

7. Seclusion : 구획화,격리. Enzyme 작용을 생각하면 된다. 적절한 구획화가 없으면 반응의 효율은 극도로 저하된다. 그러나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구획화 시스템은 완전하지 않다. Feedback 작용들에 의해 이러한 구획끼리의 연결이 생긴다. 그 조그만 세포내에서 수천의 화학작용들이 일어나기 위해 이러한 구획화는 필수다.

생명을 정의한다는 것은 생명과학자들에게도 철학자들에게도 쉽지 않은 질문이다. 김우재는 막연하게 생각한다. 살아있는 것들에 의해 구분지어지는 그 어떤것 이 아닐까 하고. 그러나 살아있는 것 이라는 동어반복을 도입해야 하는 모순은 또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 --김우재

KIDS에서 쇼팽이라는 아이디를 쓰시는 분께서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리셨는데, 제가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정의였습니다. 군더더기 없고 깔끔하며 넓은 범위의 "생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 생명이란 자기조직화하는 논리이다. |}}

자기조직화하는 논리라는 말은 자기재생산하는 실체에 대한 보다 넓은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체가 아닌 논리라는 말은 생명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멋지지 않아요? --아무개

수업시간에 들은 것인데... "생명이란 주변 환경과 다른 것, 주변환경과 같아지려는 것에 대한 투쟁(예: 자정작용)."이라네요. 사람이 체온을 유지하며 살 수 있는 것도 바로 주변환경과 같아지려는 것에 대한 투쟁으로 생명의 속성을 말해준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감동받았어요. 이 말씀을 하신 선생님께서는 생물 뿐만 아니라 우주적 차원으로까지 생명의 개념을 확대시키시더라구요. - 희망
아.. 어떤 선생님인지 모르겠지만, 김용옥을 좋아하시는 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주변환경과 같아지려는 것"을 물리학적으로 설명하자면, 엔트로피의 증가입니다. 김용옥이 말하는 생명이라는 것은 바로 네겐트로피를 증가시키는 것이라고 합니다. 물이 강으로 흘러 바다로 가듯이 자연은 다 그러한 것인데, 오로지 살아있는 것들만이 태어나서,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밥을 먹고 삶을 살아가는 것 자체가 우리를 둘러싼 이 자연과의 투쟁인 것입니다. 가끔씩 느끼는 '산다는 것'의 치열함은 바로 이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죽지 않으려는 것. 그것이 바로 생명이 아닐까요. --naya
엔트로피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흘러 가는 건가요? 아니면 그 반대인가요? 가끔 헷갈리는데... 생명체가 살아 있다는 그 자체가 우주의 에너지를 더 빨리 소모시키는 데에 일조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
이아이론에 따르면, 만약 외계에서 생명을 만났을 때 어떻게 그 생명을 구분할 수 있을지에 대해 궁리하다가, 주변의 엔트로피보다 엔트로피가 낮은 상태를 생명으로 보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실상 지구자체가 주변보다 엔트로피가 낮은 상태로써 아주 비정상적이더라는 겁니다. 그래서 어머니 지구가 생명 그자체이더라는 결론에 도달했지요. 잘은 모르겠지만, 김용옥 교수의 독창적인 생각은 아닐지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jiinny

[http]The Seven Pillars of Life : 원문 링크

에너지는 형상을 얻고, 형상은 에너지에 의해 변형된다.(상대성이론) 그렇다면, 물질과, 그것에 변화를 주는 힘을 따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생명이란 물질과 힘의 조합으로 생각해볼 수도 있다. 이 때의 물질이 갖추어야 하는 몇 가지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생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살아 있냐/죽어 있냐 하는 질문 자체에 오해가 있다는 것이다. 즉, 삶/죽음이 과연 이분법적으로 구분 가능한 것인가? 나무 하나가 있다. 그 나무는 살아 있다. 이 때, 그 나무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꺽어 보자. 그 나무는 여전히 살아 있는가? 나뭇가지는 여전히 살아 있는가? 비유하자면, 생명의 정도는 0에서부터 100까지 서서히 변해가지만 인간이 느끼는 것은 0,10정도와 90, 100 정도의 생명도인 것 같다. 그래서 앞의 것은 죽었다고 생각하고, 뒤의 것은 살아 있다고 생각한다. 즉, 돌은 생명도가 0인 것이 확실하므로 생명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지만, 바이러스는 생명도가 한 40이나 50쯤 되니까, 생명인지 무생명인지 분간할 수 없는 것이다. 요는 생명의 type은 boolean이 아니라 real이라는 것이다. 이 때, 생명도를 높여 주는 몇 가지 구조적 특징이 있음을 생각해본다. 이것은 주로 진화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즉, 닫힌 시스템은 필수불가결하게 그 구성 물질이 응집도(integrity)를 잃게 된다. 따라서 생명이란,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조를 유지시켜나가는 모든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왜냐 하면, 외부의 물질을 섭취하여 그 물질의 엔트로피를 높이고, 그 때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신을 이루고 있는 물질의 엔트로피를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자연은 기본적으로 모든 물질의 엔트로피가 높아지도록 되어 있는데, 생명은 그 방향에 역행하여 자신의 엔트로피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생명 역시 결국 엔트로피가 느리게나마 증가하기 때문에, 죽는다. -- adnoctum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