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서관의문제점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Kwon우리나라서점의문제점을 보고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겠지만 일단 Kwon이 생각하는 문제점 중 가장 큰 문제는 도서관의 수가 너무 적고 도서관의 장서량이 대체로 적은 편이라는 것이다. 또한 시설이 상당히 낙후돼있고 몇몇 도서관의 경우는 책정리도 제대로 안돼있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서점의문제점에서 이야기 한것만큼 그 외에도 많은 문제점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하나하나 이야기 해봅시다.

도서관에 대한 노스모키안의 생각


저는 부평에서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 편인데 역사가 깊은만큼 책도 낡은 책이 많아서 어떤 경우에 보고 싶은 책을 겨우 찾아서 읽으려고 대출을 해보면 손대기가 망설여질 정도로 낡았습니다.
신규서적을 구매하는 것도 좋지만 기존 있는 책이 너무 오래된 경우 판단을 해서 재구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런 정도의 책도 장서수에 포함된다면 책이 많은 것 같아도 사실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지요 .
돈이 없어서일까 ? 하여간 너무 낡은 책들은 이용자의 건강을 고려해서 과감하게 폐기처분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뎡만

말이 나온 김에 잠시만 덧붙여 쓰자면, 사실 뎡만은 국립도서관의 대리석 바닥이 마음에 안 듭니다. 그 돈을 아껴서 동 단위의 네도서관을 하나라도 더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산이 한정되어 있는 건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니까요. 뎡만의 생각으로는, 공립도서관은 누구나 자전거를 타고 갈 수 있는 거리 안에 하나씩 있어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책이 많이 소장된 도서관이라 하더라도, 너무 멀면 직장을 갖고 있는 보통 생활인들에게는 그림의 떡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대학도서관과 공립도서관의 효율적인 연계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거칠지만 굳이 구분을 짓자면, 학술적인 서적은 대학도서관, 국립도서관, 국회도서관 등에서, 대중적인 서적은 공립도서관에서 적극적으로 구입해야 합니다. 그리고 일반인들에게도 대학도서관, 국립도서관, 국회도서관 등이 개방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대학도서관에서 무협지나 로맨스 소설을 사고, 공립도서관에서 어려운 전공서적을 비치할 필요는 없지 않겠습니까. 가벼운 서적을 읽고 싶은 학생은 가까운 동네 도서관에, 조금 깊이 공부를 해 보고 싶은 주민은 가까운 대학도서관에 갈 수 있는 상황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봅니다. 현 실정으로는 대학도서관에도 전공서적이 제대로 비치되어 있지 않습니다만, 쓸데없이 연애 소설 사는 데 돈 쓰지 말고 저널이나 전공서적을 폭넓게, 업데이트도 빨리빨리, 구입하는 데 돈을 쓰는 게 더 옳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해당 행정 구역 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비율에 따라 그 나라 말로 쓰여진 책도 어느 비율 이상 구입을 해야 합니다. 솔직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심지어 그 외국인이 불법체류자들이더라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뎡만이 일본에서 거주했던 도시의 (동경은 아니었습니다) 외국인 거주 비율은 상당히 높았는데, 그래서였겠지만 동네 도서관에 비치된 외국어 장서는 한국어, 중국어, 영어, 독어, 불어, 러시아어를 망라하고 있었습니다. 수는 적었지만 외국어에 찌들어 살던 뎡만에게 가끔 읽는 한글 책은 가뭄 속의 단비 같았습니다. 한편 비록 읽지는 못하더라도, 외국어로 쓰여진 책이 도서관에 비치되어있다는 사실 자체가 많은 사람들에게 다른 나라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도록 영향을 끼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아, 말이 길어졌습니다. :-)

rururara

rururara는 도서관에 가지고 있는 불만 중 하나는 컴퓨터 관련 서적이다. 별반 다를것없는 컴퓨터 관련 서적들이 버젼업이나 다른 책이라는 이유로 들어오는것을 보면 그만큼의 다른 유용한 책이 상대적으로 들어오지 못할것이라는 생각으로 기분이 나쁘다.

JrCho

도서관 다니며 놀랐던 것은 국립도서관을 다녀보고서였습니다. 같은 세금을 내고, 장소나 지역에 따라 그 혜택의 불균등 ... 주제에 벗어나는 이야기인가요? --JrCho
요샌 관악구립도서관에 매주 토요일 가서 책 3권을 빌려 잘읽고 있습니다. 아쉬운 것은 환타지소설의 무작정 증가와 고등학교 문제집, 토익이 많아지고 있음.

은눈의시체

현재 문헌정보학에 열중하고 있는 학도로서, 이 페이지에 많은 관심과 애정이 쏠리는군요. 일단 작은 지역 단위의 도서관이 많이 필요하다는 점과, 도서관 사이의 네트워크 연계가 필요하다는 점. 국외 서적에도 관심이 필요 하다는 점. 도서관에 진입장벽을 없애야한다는 점. 도서관의 성격에 맞는 책을 구비해야 한다는 점이 문제인 것 같은데..

저는 사실 소설 밖에 안 읽지만 ^^; 많은 부분에 공감을 합니다. 특히 네트워크와 소규모 지역의 도서관 확충은 가장 시급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학도의 입장에서 보기에, 도서관에 책임을 가지고 있는 여러분들이 이런 문제를 소홀히 여기고 있지는 않습니다. 또 한, 개선의 노력도 열심히 하고 있지만, 사서나, 도서관학자라는 지위가 사회적인 발언을 하기에 많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들 스스로도, 많이 발언하지 않는 편이구요. 노스모크 이외의 곳에서, 도서관을 일상으로 여기고 관심을 가진 분들을 찾기 힘들기도 합니다. 조금 이해해 주시길 바라구요. 요즘 공부하고 있는 여러 학우들이 그런 문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무적으로 봐 주시길 바랍니다. :)

에잇! 이런 말을 하려던게 아닌데, 어쩌다보니, 사서들의 대변인 처럼 말하고 있게 되었네요.-_-; 이 것도 전공강박증?..^^; 하여튼.. 아직 어린 학도이지만, 문제점은 확실히 개선해야만 한다는 것이 제 생각이구요. 사서분들 중에 참여적인 성향을 가진 분들이 적으시기에, 이런 작은 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부족해지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 같은 작은 한 사람, 한 사람부터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간다면, 이 페이지에도 한국 시립도서관은 해외에도 뒤지지 않는, 뛰어난 수준을 갖추고 있다.라는 평가가 나오지 않을까 상상해 봅니다. 당장 동기들과 선배님들께도 이 페이지를 추천해야 겠군요 :) -- 은눈의시체

도서관에 대한 노스모키안의 대화



우리 나라 도서관의 문제점은 절대적 도서부족뿐 아니라 제대로된 사서가 없는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열심히 일하시는 사서분들께는 죄송한이야기 이지만요. 사서란 단순히 책을 정돈하는 사람이 아니라 책읽기에 정통한 장인정신을 지닌 사람이어야 하는거죠. 또한 장서량의 수의 문제뿐아니라 책의 종류에도 큰 문제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사전류를 구비해야 하며 각분야의 바이블로 불리는 서적들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하겠죠. 잡종이 다니는 학교의 도서관에 가보면 실용적 컴퓨터 서적은 대단히 많으면서도 컴퓨터공학에 있어서 바이블로 불리는 서적은 그 수가 훨씬 적거나 오래된 판본을 소유하고 있는걸 볼수 있습니다. 제 이야기 보다는 [http]궁리닷컴 사이트(아마도 많은 노스모키안이 아시고 계실 사이트 같습니다만)에 가보시면 도서관의 문제점 대해 잘쓴 글들을 보실수 있습니다.--잡종
몇몇 페이지를 찾아서 링크시켜주시면 안될까요?

도서관 장서량이 부족한 점도 있지만, 다른 도서관들과 잘 연결할수 있다면 그 문제는 어느정도 극복할수 있지 않을까요? - 클스

대학 도서관을 연결해서 책을 대출해주는 서비스(interlibrary loan service)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대인 경우에는 중앙 도서관 전산 서비스 망에 그런 서비스가 있더군요. 책을 신청하면 며칠 뒤에 자기 학교 도서관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학교에서는 무지하게 많은 돈을 도서관에 도서 구입비로 할당합니다. 그러나 학생들이나 교수들이나 공부하고는 거리가 멀어서 도서 구입신청을 안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대부분의 도서구입비가 진짜 필요한 책을 구입하기 보다는 그냥 비전문 사서들이 귀동냥으로 구입한다고 하더군요. 머 학생들인 경우는 자기는 한번 보고 말 것이니 굳이 신청하고 몇개월 걸리는 서비스를 이용할 유인이 없고 교수들은 어차피 공부하지 않으니 자기 연구실 책들로만 충분하니까 벌어지는 현상인데... 참 안타깝죠... 제 생각에는 오히려 우리나라 도서관의 문제는 도서에 대한 관심이 없는 대부분의 대학생 그리고 교수들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timelesstime

대학도서관은 조금 나은 편입니다. 더 큰 문제는 지역도서관이죠.
사실 지역 도서관 활성화만 제대로 되어도 우리 나라의 많은 인문학 박사들의 최소한의 생활 보장의 가능성이 열릴 것입니다. 왜냐면 일정한 수 의 책을 도서관에서 사주게 되면 출판사에서도 학술서적도 출판하게 될거고 그럼 우리 나라에 있는 많은 인문학자들이 책들을 쓰게 되고 그 인세로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 갈수 있게 되겠지요.이런것이 뉴딜정책이 아닐런지 생각합니다. [http]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잡종

도서관분류에 대한 생각

책분류?
도서관 및 서점 분류를 만들면 어떨까요?
쉽게 '책방분류'가 좋을 것 같은데요.
기존의 책분류를 책소개분류로 바꾸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책분류를 보십시오.

도서관에 대한 잘못된 인식

도서관과 독서실을 혼동하는 사람이 너무 많습니다. 실제 운영도 도서관 보다는 독서실이라는 이름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대학에서도 도서관에 산다는 사람들은 교과서와 수험서만 놓고 씨름합니다.
kall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을 자주 이용합니다. 동대문도서관은 현재 5층짜리 건물이고, 1층에는 어린이용도서 2-3층에는 열람실이란 이름의 독서실, 4-5층에는 진짜 열람실이 있습니다. 오늘 책을 빌리러 계단을 오르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도대체 도서관에 책이 주인공인지, 책상이 주인공인지??. 책을 보러 가는 사람은 꼭대기까지 걸어올라가야 하고, 책상을 보러가는 사람은 조금만 올라가면 됩니다. 별것 아닌것 같아도 도서관측에서 책보러 오는 사람보다 책상보러 오는 사람의 편의를 더 신경써주는듯한 기분이 들어 왠지 씁쓸하더군요.
얼마전 구청홈페이지 민원게시판에 '도서관 좀 지어주세요'라는 글이 있길래 읽어봤습니다. 내용이 '수험생인데 도서관이 없어 참 불편합니다.'더군요. 문득 느낌표에서 동네에 작은 도서관이 생겼다가 독서실로 용도변경된 일이 스쳐지나가더군요. --kall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