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남설화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
{{|
간략설명
신라시대 김유신(金庾信)의 전생(前生)에 얽힌 설화.
장르 : 설화

상세설명

일연(一然)의 《삼국유사》 권1 김유신조에 실려 전해진다. 내용은 김유신이 고구려의 첩자 백석(白石)의 흉계에 빠져 고구려로 따라가다가 백석의 정체를 알고 결박하여 돌아와 심문하자 그가 신라에 찾아온 까닭을 이야기한 것으로, 고구려의 점쟁이 추남(楸南)의 환생담(還生談)이다.

즉, 고구려에서 강물이 거슬러 흐르므로 왕이 점쟁이 추남에게 물으니, 그는 말하기를 왕후가 음양의 도를 거슬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왕이 이상히 여겨 다시 추남을 시험하고자 쥐 한 마리를 함 속에 감추고 몇 마리가 들었느냐고 물은 즉, 그는 여덟 마리가 들었다고 대답하여 죽음을 당하였다. 그는 죽으면서 장차 반드시 나는 신라의 장군으로 태어나서 고구려를 멸하고야 말리라고 맹세하였다. 왕은 깨달은 바 있어 쥐의 배를 갈라 보니 일곱 마리의 새끼가 들어 있었다. 그제서야 비로소 추남의 예언이 맞은 줄을 안 왕이 이날 밤 꿈을 꾸니, 죽은 추남이 서현공(舒玄公:김유신의 아버지) 부인 품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왕은 그가 김유신으로 환생(還生) 하였음을 알고, 백석을 첩자로 보내어 김유신을 고구려로 유인해서 죽이려다가 실패하여 백석은 죽음을 당하였다는 이야기이다.

(출처: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
|}}



김성호 저 "중국진출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1권에 보면 고구려의 이야기가 아니라 백제의 이야기라고 하더군요.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이야기라는 것이 연대에 맞다고 합니다. ExLibris도 이 설화를 처음 들었을 때 연대표를 들여다보고는 뭔가 좀 이상하다고 생각은 했었지만 옛날 이야기니까 좀 틀렸으려니 했었는데요. 이 책에서는 추남설화와 서동설화를 연관시켜 서동요를 재해석하고 이들을 훈요십조의 후대 위작설의 한 근거로 삼고 있습니다.

[ISBN-8980500076]

{{|
...전략...

그러면 신라에도 차령, 공주강을 배역하다고 한 풍수설이 과연 있었을까? 물론 없지 않았다. 이것이 바로 국유사에 전해호는 추남설화와 서동설화이다. 우선 삼국유사 권2 김유신전에 수록된 추남설화부터 보자.

즉 삼국통일의 명장으로 알려진 김유신이 18세 때 국선(화랑도 단장)이 되에 여러 화랑들과 백제,고구려 공벌을 궁리하고 있을 때, 신원미상의 백석이란 자가 와서 "적국글 비밀히 염탐하여 일을 도모하자"고 제안함에 따라 유신은 쾌히 승낙하고 그와 함께 밤중에 길을 떠났다. 골화천(경북 영천)에 이르러 유숙하려 할 때 세 미인이 찾아와서 "서로마음을 허"하게 되자 마음이 동한 유신은 여인들을 따라 숲 속으로 슬금슬금 들어갔다.

이때 미인들이 갑자기 귀신으로 화하여 이르기를 백석은 적의 첩자로서 지금 귀공을 유인해 가는 것이다"라 알려주고 홀연히 사라졌다. 나림(경주 낭산), 혈례(청도 오리산), 골화(영천 금강산)의 여신들이었다. 유신은 백석에게 꼭 가지고 가야 할 문서를 깜박 잊고 왔으니, 가지고 가자고 하여 집으로 되돌아온 후 백석을 포박하고 문초한 결과 백석은 아래와 같이 실토했다.

'나는 본래 고구려인입니다. 우리나라 군신들이 이르기를....... 국경에 역류지수가 있으며, 또한 암,수컷이 반복되는 일 때문에 점을 쳤더니 복술가 왈, 대왕 부처가 음양지도(성교)를 역행한 징표라 대답했습니다. 이에 놀란 대왕과 방비는 대노하여 요망스런 여우의 말이라 하였습니다. 왕은 다른 일로 시험하여 맞히지 못하면 중형에 처하기로 작정한 다음 쥐 한마리를 함 속에 넣고 무엇이냐고 묻자, 추남은 필시 쥐인데 그 목숨은 여덟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왕은 실언으로 보고 즉시 추남의 목을 치려 할 때 그는 말하기를, 나는 죽어서 대장이 되어 반드시 고구려를 멸하겠다고 맹세했답니다. 왕이 목을 친 후 쥐의 배를 갈라본 즉 쥐새끼가 일곱 마리여서 그제서야 비로소 그의 말이 옳았음을 알았습니다. 이날 밤 대왕은 꼼에서 추남이 신라 서현공(유신의 부친)의 부인 품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 군신들에게 말한즉 추남은 맹세하고 죽었으므로 그의 말대로 될 것이라 하니, 왕은 나를 보내어 서현공의 부인에서 태어난 귀공(유신)을 꼬여 데리고 오라고 한 것입니다.'

추남은 점을 너무 잘 친 덕분에 죽었다. 왕부처의 은밀한 음양관계를 실토했으니, 불문곡직하고 죽음을 면할 길이 없었다. 이 말을 전한 백석은 "나는 본래 고구려인입니다."라 했다. 이에 의할 경우 추남설화는 고구려 이야기가 된다. 그러나 일연선사는 이 구절 끝머리에 작은 글씨로 "고본에는 백제라 했지만 잘못이다. 추남은 고구려인이고 또한 음양의 역행 역시 고구려 보장왕의 일이다"라고 주석을 달아 놓았다.

일연선사는 추남설화를 고구려 이야기라 했지만 그가 인용한 "고본"에는 백제의 이야기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고본"(백제설화)이 옳은가, 아니면 일연선사의 수정론(고구려설화)이 옳은가. 이 점은 지극히 분명하게 판명된다.

즉 삼국유사 김유신전에 의하면, 유신의 출생년도는 건복12년(595)이며 18세 때인 612년에 "수검득술"하여 화랑도의 국선이 되었던 만큼, 백석이 그를 납치하러 갔을 때는 유신이 국선이 되었던 18세 때 즉 612년이다.그리고 일연선사가 말한 고구려 보장왕의 재임기간은 612년보다 무려 30년이나 뒤늦은 642~668년이므로, 추남설화는 결코 고구려 보장왕에 연결될 수 없다.일연선사의 정정은 잘못된 것이었다. 추남설화는 고본에 따라 백제의 이야기로 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612년경에 재위한 백제왕은 제30대 무왕(600~640)이며, 무왕의 왕비는 바로 고대세계에 있어서 러브스토리의 여주인공으로 알려져 온 신라의 선화공주이다. 선화공주는 신라 진평왕(579~631)의 셋째 공주였던만큼, 백제와신라의 양쪽 연대가 모두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강물이 거꾸로 흐른 국경 근처의 "역류지수"는 바로 백제의 도읍지를 흐르는 공주강(금강)에 해당하며, 이 강물을 "역류지수"로 만든 장본인은 바로 무왕과 선화공주의 "음양역행" 때문이었다. 아름답고 청순하기로 소문난 선화공주가 음양(섹스)을 역행했다는 것은 경악할 사태이다. 정말로 그랬을까?

.... 하략... -- 김성호 저 "중국진출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1권 323~326 Page
|}}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