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해례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훈민정음(한글) 해설과 용례서. 한글창제원리를 설명해 놓았다.

1446년 간행. 훈민정음 예의본과 해례본은 본시 한 책으로 간행되었지만 해례가 붙어 있는 원본은 전하여지질 않다가 1940년경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원본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로써 이전까지 말이 많던(특히 한글을 폄하하던) 여러 기원설을 일소하게 되었다.


부끄럽지만, 나는 고등학교 2학년 때와 대학 초년생 때(이 때 더 많은 것을 느꼈다) 훈민정음해례를 직접 보고서야 비로소 한글의 깊이와 높이를 깨달았다. 외국인에게 한글을 가르칠 때 해례본의 제자해와 음양오행 원리를 같이 설명해 주면 훨씬 빠른 시간 안에 한글을 읽을 수 있었다. 이 방법을 이용한 내 한글 가르치기 최단 기록은 한 시간이다. 한 시간이면 한글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모든 글자를 소리내어 읽을 수 있었다. 분명 한글은 그림듣기, 소리보기에 달통한 사람들이 만든 것이다.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이나 어떤 시스템을 만드려는 사람들에게 이 책이 큰 계발이 되리라 생각한다. 전자에겐 무형의 것을 어떻게 자연스럽게 유형화해서 표현할 것인가, 후자에겐 어떻게 추상적인 개념들을 규칙적으로 체계화할 것인가 하는 데에 큰 공부가 된다.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03년 1월호에 프로그래머를 위한 컴퓨터 서적 이외의 필독서로 본인이 소개글을 썼다.)

{{|
한글은 하나의 시스템이다. 기능과 모양새가 한 박자에 맞춰간다. 다양한 상징과 은유가 일관된 체계를 구축하며 들어 있다. 필자는 이제까지 한글처럼 완벽한 시스템을 본 적이 없다. 디자인을 하는 사림이나 어떤 시스템을 만들려는 사람에게 이 책이 큰 계발이 되리라 생각한다. 무형의 것을 어떻게 자연스럽게 유형화해서 표현할 것인가, 추상적인 개념들을 어떻게 규칙적으로 체계화할 것인가 하는 데에 큰 공부가 된다. (김창준, 마소 2003년 1월호)
|}}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