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oole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안녕하세요!
dooole의 위키홈페이지입니다.

바둑의 재구성입니다.

바둑이 그 진행규칙의 미완으로 머물고 있어서, 바둑의 이론화와 세계화 등등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둑을 논리적으로 실행가능하게 재구성하려 합니다.

!!! 바둑의 재구성 !!!

1. 구조적 정의

1. <바둑의 구성요소> : { (p, q), 돌, 판 }이다.

11. (p, q) : 오직 두 종류의 양립불가능( | )한 구분이다.

12. : 표시기호이다.

13. : 충분히 유한한 직교좌표 평면이다.

131. 판의 단위 : { }이다.

1311. <밭의 구성요소> : { 자리, 둑, 밭 }이다.
13211. 자리 : 서로 이웃한 이 교차하는 곳인 점이다.
13212. : 서로 이웃한 이 마주하는 경계인 선이다.
13213. : 서로 이웃한 자리으로 둘러싸인 면이다.


2. <돌둑과 섬> :

21. 돌둑 :
211. 둑(p) = { 자리(p) or 둑이음인 자리(p)n }
212. 돌둑(p) = { 돌(p) or 둑이음인 돌(p)n }
213. 올둑(p) = { 둑(p)m과 돌둑(p)n이 이웃하는 조합 }

22. 섬 : { 올둑(q)n에 포함되는 자리가 없음.} or { 돌둑(q)n에 이웃하는 자리가 없음.}
221. 마주섬(q)n = { 돌둑(p)에 대해서, 돌둑(q)n의 모든 돌(q)이 돌둑(p)과 이웃하고 섬일 때.}
2211. 맞섬 = { 돌둑(q)n의 모든 돌이 돌둑(p)의 돌과 서로 1:1 대응으로 이웃할 때. }
223. 안에섬(q)n = { 돌둑(q)n이 돌둑(p)에 포함이고 섬일 때.}


3. <여울> : { 빈울, 한울, 두울 }이다.

31. <여울의 구성요소> : { 안섬, 둘러섬 }이다.
311. 안 섬 = { 둘러섬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조.}
ex) 안섬(p) = { 돌둑(q)n에 의해서 결정되는 올둑(p).}
312. 둘러섬 = { 어떤 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된 구조.}
ex) 둘러섬(q)n = { 안섬(p)를 결정하는 돌둑(p)n.}

32. <여울의 구조> : < 안섬, 둘러섬 >인 규칙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321. 빈울< 안섬 빈둑(p), 둘러섬 돌둑(p)n > :
3211. 안섬 : 둑(p)이다.
ex) 빈둑(p) = { 둑(p)의 모든 자리(p)가 {자리(p) 혹은 돌둑(p)n}에 이웃할 때.}
3212. 둘러섬 : 돌둑(p)n이다.

322. 한울< 안섬 올둑(p), 둘러섬 돌둑(q)n > :
3221. 안섬 : 섬이거나 섬이 가능한 돌둑(p)이다.
ex) 안섬올둑(p) = { 섬(인)이 가능한 올둑(p)n의 구조.}
3222. 둘러섬 : 돌둑(q)n이다.

323. 두울< 안섬 쌍(p&q), 둘러섬 쌍(q&p) > :
3231. 안섬 : 서로 섬이 가능한 올둑(p&q)의 쌍이다.
ex) 안섬쌍(p)n = { 두울(순환)조건을 만족하는 안섬올둑(p)n.}
32311. 두울조건 :
323111. { 안으로, 안섬 쌍(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
323112. & { 밖으로, 안섬 (마주섬 or 안에섬)쌍(q)n의 합이 하나 이하이다. }
3232. 둘러섬 : 안섬 쌍을 둘러싼 돌둑(p&q)이다.

-- dooole 2008-06-29 20:27:47
.

2. 기능적 정의

1. <바둑의 이음> : { 형식1 * 형식2 }을 결합하여 하나로 기능하는 것이다.

11. 판과 형식(가능성, 수행성)의 이음 :
111. 가능성의 받음과 버림( 자리, 형식 )
1111. 자리에로 받음 : 어떤 형식이 판 안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ex) 자리(p) = { 자리 * (p) }
한울(p) = { { 자리 * (p) } * 한울 }
1112. 자리에서 버림 : 어떤 형식이 판에서 퇴거하는 것이다.
ex) 자리(p)에서 자리와 (p)의 분리이다.
112. 수행성의 놓음과 낳음( 자리(p), 돌(p|q) )
1121. 자리에로 놓음 : 어떤 형식을 판 안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ex) 돌(p) = { 자리(p) * 돌(p) }
1122. 자리에서 낳음 : 어떤 형식을 판에서 배제하는 것이다.
ex) 돌(p)에서 돌(p)과 자리(p)의 분리이다.

/ | 가능성 | 수행성
판으로 진입 | 받 음 | 놓 음
판에서 퇴거 | 버 림 | 낳 음


12. 판 안에서 기능적인 이음 :

121. 자리이음( 둑n, 형식 )
ex) 자리(p) = { 자리(p) * 둑n }
돌(p) = { 돌(p) * 둑n }

122. 둑이음(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둑(p) = { 자리(p)m * 둑i * 자리(p)n }
돌둑(p) = { 돌(p)m * 둑j * 돌(p)n }
1221. 이웃(이음)관계(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이음(이웃)자리(p) = { 돌둑(p) * 둑n * 자리(r) }
이웃(이음)돌둑(q) = { 자리(p) * 둑n * 돌둑(q) }

123. 밭이음( 밭n, 형식1, 형식2 )
ex) 빈울, 한울, 두울...


2. <여울의 기능> :

21. 맺음자리와 여울자리 :
211. 맺음자리 = { 어떤 형태를 돌둑으로 구체화(결정)할 수 있는 자리.}
ex) 안섬의 맺음자리(p) = { 안섬쌍(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을 포함할 때.}
212. 여울자리(p) = { 빈울자리(p) or 한울자리(p) or 두울자리(p).}

22. 빈울의 기능 :
221. 여울(빈울(p)) = { 빈둑(p)이 숨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ex) 숨자리(p) = { 둑(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 포함.}
222. 빈울자리(p) = { 빈둑(p)의 숨자리인 맺음자리(p). }

23. 한울의 기능 :
231. 여울(한울(p)) = { 올둑(p)이 섬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ex) 섬자리(p) = { 올둑(p)에 포함된 자리(p)가 오직 하나일 때. }
232. 한울자리(p) = { 올둑(p)의 섬자리인 맺음자리(p). }

24. 두울의 기능 :
241. 여울(두울(p)) = { 두울(연속/단속)이음의 완료일 때 발생한다.}
2411. 여울(두울(p))의 연장 : { 그 안섬 쌍(p&q)이 서로 맞섬이고 섬일 때, }
242. 두울자리(p) = { 여울 안에서, 안섬쌍(p)n의 맺음자리(p).}
or { 여울 밖에서, 서로 맞섬인 안섬쌍(p)n의 맺음자리(p). }

243. 두울이음(p) : 두울조건과 아래의 (1 or 2 )를 만족하는 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올둑(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1) { 밖으로, 이웃한 돌둑(q)n의 모든 이음자리가 올둑(p)에 포함이다. }
    2) 이미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p). }
  2. 올둑(p)이 여울구조를 포함할 경우,

가 정 q. | 자리(x)에 대해서 (p)의 올둑(x)에 포함 or 이웃이고, 자리(x)를 포함하지 않는 (q)의 어느 한 올둑(q)을 안섬쌍(Q)으로 가정한다.
가 정 p. | 가정한 안섬쌍(Q)에 이웃하고, 자리(x)를 포함하는 (p)의 올둑(P)을 안섬쌍(P)으로 가정한다.
만족조건. | 올둑(P/Q)는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1) { 우선, 안섬쌍(P)을 돌둑(P)으로 가정하면, 안섬쌍(Q)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 { 이어서, 안섬쌍(Q)을 돌둑(Q)으로 가정하면, 안섬쌍(P)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 { 안섬쌍(P)에 대해서 오직 하나의 안섬쌍(Q)이 존재한다. }
2) 이미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p). }

2431. 여울(두울이음(p)) = { 자리(p)에 이웃한 돌둑(q)n이 이웃하는 자리가 오직 하나이고, }
& {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할 때 발생한다. }
24311. 두울(연속)이음의 완료 : { 그 안섬쌍(p)n이 처음으로 돌둑(p)-맺음-일 때, }
24312. 두울(단속)이음의 완료 : { 그 안섬쌍(p)n이 두번째로 낳음-맺음-일 때, }

-- dooole 2008-06-29 20:32:12
.

3. 수행규칙

10. < 읽 기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100. < 열기 > : 그 둘러섬(q)n이 모두 없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101. < 충분 > : { 그 두울에서 서로 마주섬이 아니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102. < 짓기 > : 그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11. < 지우기 > : 섬인 돌둑(p)n의 돌(p)n을 모두 낳아 버린다.

111. < 따름 > :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으면, 자리에서 버린다.


12. < 쓰 기 > : 오로지 하나의 돌(p)자리에 받아 놓는다.


*
2. <<수행규칙>의 적용규칙>...

21. 두울(단속)이음을 완료하면; <충분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22. 두울이 연장이면; <충분규칙>을 적용한다.



  • 후~ 처음부터 너무 서둘렀다.
-- dooole 2008-06-29 20:14:28
.

dooole를 위한 추천 페이지

NosmokeTutorial/도움말 : 순서대로 차근차근 읽어보시면 노스모크에 금방 적응하실 수 있습니다.
초보의위키쓰기
노스모크공동체
WikiSandBox : 글 수정 연습은 이곳에서 하세요.


Dear dooole

우와아..... 눈이 막 돌아가네요 .. 어려워요 ㅜㅜ... 얼마전부터 바둑을 공부해보고 있는데.. 집 하나 내기도 힘들군요 ㅜㅜ.. -- Magicboy 2008-07-08 06:45:53

연속을 전제하고,
안섬 쌍이 두번째 낳음이면, 연속하는 모든 안섬쌍의 맺음자리에 놓을 수 없다.

단, 맞섬형(단패)의 경우는 생략형으로 본다.
왜냐하면 위의 형식에 포함되므로... -- dooole 2008-08-28 09:12:13

Username:


※ 많은 제안을 해주세요..!


Nexus :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