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학습혁명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ISBN-8995360119]

원제는 누구나 천재가 될 수 있는 뇌 학습혁명이다. 뇌에서 기억의 중추로 불리고 있는 해마 연구로 동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케가야 유우지 교수의 저서.


책이름은 꼭 그렇고 그런 시골 약장수를 연상케 한다. 하지만 내용은 그렇지 않다. 이 책은 과학적인 근거를 중심으로 쓰여졌다. 뇌의 구조와 성격에 맞는 좋은 공부법을 알려준다. 제목에 "학습"이란 말이 들어 있지만, 실은 이 책의 저자의 전문 분야인 "기억"에 대한 내용이 거의 전부이다. 이 책은 어떻게 해야 복습 횟수를 줄이면서도 높은 효과를 보는 지 등에 대해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저자는 공복에, 낮은 온도에서 공부를 하면 기억력이 매우 높아진다고 한다. 우리는 오랜 진화의 과정을 거쳐, 생체의 위기감을 느낄 때 학습이 극대화 되도록 프로그램 되었다고 한다. 공복이나 낮은 온도는 모두 생존에 대한 위기감을 자아낸다.

기억을 할 때 감정이 발하면 기억이 잘되는 것은 해마 바로 옆의 편도체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고 새로운 것을 접하면 세타파가 발생한다. 편도체를 자극하거나 세타파가 발생하는 것 모두 LTP(Long Term Potentiation)가 일어나게 해서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다. "감동 받는 사람"들이 왜 훌륭한 학습자인지 설명이 되는 셈이다.

이 세상에서 인간 생존에 중요한 정보는 대부분 자주 반복된다. 해마는 반복된 자극을 "중요한 정보"로 생각하고 그 정보를 버리지 않는다. 외국어를 배울 때도 마찬가지다. 자주 쓰이는 중요한 단어는, "정상적인 언어 자료"를 꾸준히 접하게 된다면 자동으로 더 잘 기억되게 되어 있다. 그게 뇌와 우리 삶의 메카니즘이다.

{{|
...학교에서 배운 지식은 대자연 속에서 일어나는 위험으로부터 생명을 지키기 위한 정보와는 완전히 다르다. 이것이 중요한 포인트다.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은 '불필요한 정보'로 간주되어 해마에게 버림을 받는다. 따라서 뇌에 기억시키기 위해서는 생존을 위한 지식이 아닐지라도 해마가 중요하다고 착각하게끔 해야 한다.

해마가 착각하도록 하는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은 같은 정보를 몇 번씩 반복하여 해마에 보내는 것이다. 즉 들어온 정보를 복습하는 방법인데, 해마에 정보가 머무르는 기간은 아무리 길어도 1개월이기 때문에 복습하는 타이밍이 중요하다. ...

[122쪽에서]
|}}

지금 이 정보가 마치 중대한 것인 듯 뇌를 속여서 기억 효과를 높인다는 발상은 참 재미있다. 학습과 교육에 관한 힌트를 꽤 얻을 수 있다. 설령 얻지 못하더라도, 이제까지 왜 거시기는 기억을 했는데 뭐시기는 잊어버렸는지 설명할 수 있다.


참 흥미롭게 읽었어요 --세미

여기와 관련 대화를 사랑방에서 여기로 잠시 옮깁니다. 적당한 페이지이름이 있으면 ExtractPage해 주세요. --무신
{{|
AnswerMe 초등과정부터 고등과정까지 수학의 기초를 학습 하고자 합니다. 수학이 되기까지는 무리일 것이고 목적하는 바는 이용할 줄 알길 바랍니다. 이를테면 제가 생각하는 어떤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완전한 까막눈 상태이기 때문에 어떻게 길을 들어서야 할 지부터가 막막합니다. 인터넷 휘젓다가 힘이 빠져서 이곳에 도움 청해 봅니다. 현 수준은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셈만 할 줄 안다고 보시면 되고요. 수준이 너무한가요? 죄송합니다. 그렇게 되었으니 어쩐답니까. 한 수 더하면 전 구구단을 다 못 욉니다. 잊어버린 게 아니라 본래 외우지 못했어요. 그러니까 곱하기를 더하기로 해결하는 느림보였었지요. 아무튼 길을 잃어버린 중생입니다. 좋은 커리큘럼으로 길을 찾는 데 도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두드리라니, 꼭 열리길 소망합니다. --맑은

곱하기를 더하기로 해결하는 느림보라고 하신 말씀이 재밌군요. 천재는 의외로 두뇌의 회로 구조가 단순하다고 어떤 책에서 본듯 합니다. 굳이 곱셈표를 머리속에서 찾지 않고, 덧셈 조작으로 곱셈을 하는 것이죠. 그냥 잡담입니다 ;) --무신 어휴~ 넘 추워요. --맑은
RefactorMe later. 구구단을 외우지 못해서 열배하기, 두배하기, 반으로 나누기 세가지와 더하기 빼기만으로 직접 매 순간 구구단을 계산해온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은 덕분에 여러자리 숫자의 곱셈도 암산으로 척척해내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사람이 지은 책이 뇌학습혁명입니다. --김창준
|}}

해마는 임시저장고 정도 아닐까..? 그렇지만 해마가 첫 저장고이기 때문에 이것이 없으면 기억형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는 듯. 그렇지만 해마가 주로 담당하는 것들은 사실, 사건 등 언어의 형태로 설명되거나 바뀌어질 수 있는 정보 정도일 것 같다. 심한 간질 때문에 측두엽을 잘라낸 환자 HM의 경우를 살펴보면 해마 절제이후 제대로 기억하는 사건은 전혀 없으되 (의사선생님을 20년 이상 만나도 만날때마다 처음 뵙겠다는 인사를 하는 HM) 오래전의 기억들은 제대로 하고 있고, 거울에 비친 별모양을 거울을 보고 따라 그리는 작업(거울의 이미지가 반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실제로 거울 영상만 보고 별모양을 그리기가 그리 수월친 않다. 그러나 여러번 반복하면 잘 그릴 수 있다)에서 학습효과를 나타낸다. (물론 HM은 그 작업을 할 때마다 자기는 처음 해보는 일이라고 한다.) 언어와 관련하여서 난 언어가 단순히 암기의 영역인지 그것과는 다른 요소가 더 큰 것인지 잘 알지 못하겠다. 단지 제 2 외국어를 학습할 때 이미 굳어진 모국어 체계 때문에 그리고 빠른 시간내에 효율을 올리고자 하는 마음에 외국어 습득을 암기의 형태로 하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사람이 언어를 습득 형성하는 과정은 단순 암기나 언어에 대한 사실적 이해 뿐 아닌 마치 거울에 비친 별모양을 그리는 기술과 같은 요소가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렇지만 언어에서는 이 부분을 뚜렷이 나눌 수 없는 이유가 해마가 손상된 후 새로운 언어의 학습은 이루어지기 힘들 것으로 보여지는데, 그것은 언어습득에서는 반드시 단어에 대한 이해와 암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리고 기억형성에서 가장 놀랍다고 보여지는 현상은 추출과 변형의 과정이다. 사람은 받아들인 정보를 모두 다 기억할 수 없고, 받아들인 정보중 선택적으로 저장을 하며, 추출된 정보 역시 상당량 변형의 과정이 거듭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 현상은 심해지며 어느 시점에서 추출과 변형이 일어나는지 알기가 힘들다. 해마일까? 아니면 해마 다음일까?? 아니면.. 뇌에 정보가 들어가는 순간에서부터일까?? 묘한 일이다. by 열혈여아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