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를초월한진리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FrontPageILeftMyHeartInSanFrancisco만나면헤어진다남성전용미장원 논리를초월한진리


관찰가능한 진리는 불확정성에 지배되므로, 진리근사치에 불과하다. 따라서 진정한 진리는 정확하게 정의하거나 기술할 수 없기 때문에 모순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으며,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로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 불교의 화두, 공안이란 이러한 모순과 공존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항상 논리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면, 한정지워진 불가능한일에 대한 가능한 일의 경계 내에서의 자유 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성과 분화 속에서의 발전이 아니라, 수렴과 통일에 의한 발전만이 가능하다.

논리를초월한진리의 몇가지 예


  • 사랑
  • 도가도 비상도
  • 불립문자, 염화미소, 이심전심
  • 공안
  • 황희정승의 일화
  • paradox : 역설, 역리

  • contradiction : 모순 --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가끔 이런 것들을 대하면, 이런 것들을 이르기 위해서 우선 더더욱 첨예한 논리를 쌓아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 것 없이 바로 이런 것만 한다면 이상할 것 같다. 과거에 '교'없이 '선'만으로 수행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비판도 그런 것이 아니었을 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naya


GoedelEscherBach에 삼단논법이라는 논리학의 기본적인 도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A: 모든 사람은 죽는다.
B: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Z: 따라서, 소크라테스도 죽는다.

A, B 명제를 인정하는 사람이 Z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A, B가 참이라면, Z도 참이다. 라는 새로운 명제를 다시 인정해야 한다. 이 명제를 C라고 하고, A, B, C 명제를 인정하는 사람이 Z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다시, A, B, C가 참이면, Z도 참이라는 새로운 명제를 인정해야 한다. 이 명제를 D라고 하고, A, B, C, D 명제를 인정하는 사람이 Z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무한퇴행에 대한 이야기군요. 호프스태터의 이야기의 의도는 모르겠지만, 위의 이야기만을 놓고 보자면 이 논법은 잘못되었습니다. 삼단논법은 "대전제와 소전제가 옳다면 결론도 참이다"라는 새로운 명제를 증명하도록 요구하지 않습니다. 논리학의 공리를 지탱해주는 것 중 하나는 모순의 원천적인 거부입니다. 즉, 동일한 논리적 전개가 A와 ~A를 동시에 산출하면 안된다는 거죠. "물은 물이고 물이 아니다"라는 식의 심오한 이야기가 아닌 이상, 서로 반대되는 이야기를 '문자 그대로' 주장한다는 건 받아들일 수 없는 얘기니까요. 다시 말해 논리학은,
  1. 명제는 참 혹은 거짓의 값을 취해야 하고,
  2. 명제들의 논리적 전개가 모순을 함축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전제 위에서 기초를 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위에서 기본적인 공리('A->A'와 같은)가 주어지고, 그 공리와 공리적인 전개에 따라 참인 명제를 산출해내는 명제식이 만들어집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위의 삼단 논법은 ((x)(Hx->Dx)->(Ha))->Da라는 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a=소크라테스, Hx=x는 사람이다, Dx=x는 죽는다), 이 술어논리는 술어논리의 기본 공리에 의해서 '증명'될 수 있습니다. 그 증명 과정은 무한 퇴행의 논법을 허락하지는 않죠.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