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의한번역

FrontPage|FindPage|TitleIndex|RecentChanges| UserPreferences P RSS
틀린 번역도 문제지만, 성의없는 번역도 독자를 괴롭게 한다. 독자가 무슨 뜻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해할 수 없는 오역, 무성의한 번역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나올 번역서에 경고하고자 한다. --어노님


무성의한 번역자


『지가혁명(知價革命)』(사카이야 다이치著, 김진욱譯, 문학사상사 발행)이라는 책의 57쪽 맨 위에 '... 주택도 프레하브 화(化)하고, 규격 아파트가 증가하였다.'라는 귀절이 나온다. 여기서 주택이 프레하브化했다는 말의 뜻을 쉽게 알 수가 없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프레하브는 prefab(조립식의)의 일본식 발음 プレハブ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었다. 일반주택은 조립식 가옥으로 만들어지고 정도로 번역했다면 쉬웠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이 책을 이제 읽기 시작했기 때문에 무성의한 번역의 사례는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찾는대로 덧붙이겠습니다.) --어노님
재밌는 사실은 '프레하브'라는 용어가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된다는 것이다. 구글에서 검색해 보니 몇 개의 용례가 나타난다. 조립식 가옥, 조립식 주택, 조립주택하면 될 것을 프레하브라고 말하고 글쓰는 것이다. 프레하브 판넬이라고 하면 뭐 대단한 것 같지만, 사실은 조립판넬이다. --어노님

특히 일본어 서적을 번역할 때 일본인 특유의 무차별 외래어 단어 조합 때문에 어려움이 많은 한편, 그에 따라 수준미달의 번역자들의 무성의한 번역서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런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번역자들이 해당언어 문화권에 대한 충분한 사전 지식없이 교과서적인 번역을 시도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이런 결과는 한국 독자들이 영어단어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일본식의 기형적인 단어들를 한국언어사회에 정착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코스프레나 빵꾸, 뺀찌 등의 요상한 단어들이 한국 언어 사회에 완전히 자리 잡게 되었다. 물론 문화가 놀라움과 우월함으로 다가온다면 그 문화권에서 통용되는 단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수천년간의 통례였다. 그러나 예로든 프레하브와같은 식의 무책임한, 또는 무식한 번역을 통해 침투하는 기형단어들은 우월한 문화의 흡수라기 보다는 우리 문화 주권의 포기에 가깝다. --안형진

『컴퓨터를 만든 15인의 과학자Aladdin:[ISBN-898669820X])』(데니스 샤샤著, 박영숙譯, 세종연구원 발행)라는 책의 142-143쪽에서 DonaldKnuth의 학위 논문 "Finite Semifields and Projective Planes"를 "한정된 준 전투지역과 사영 비행기들"이라고 옮겨 놓았다. 수학 논문의 제목을 저렇게 번역할 생각을 한 역자의 정신 상태가 의심스럽다. --Puzzlist
번역자가 번역소프트웨어를 돌려서 번역해놓고 자신이 손본다는 걸 깜빡한걸로 받아들입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해외토픽감입니다. --안형진

"Finite Semifields and Projective Planes"를 정확하게 번역하면 뭐라고 해야 하나요? --어노님

'유한반체(有限半體)와 사영평면(射影平面)'? 전 이쪽 분야가 아니라 잘 모르겠네요.. 참고로 위 책은 유머 소재로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더군요. (http://www.kidhkgg.net/physics/humors.htm) --안형진

유머로 퍼뜨린 게 저였습니다. ;) 올려주신 사이트는 제 홈페이지에서 많이 긁어 갔군요. --Puzzlist

제가 제시한 유한반체와 사영평면은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영어 각 단어의 의미를 명확히 해주는 역할 이상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Finite Semifields and Projective Planes 는 영문 그대로 표기해주는 게 어떨지.. -_-; 관련 분야 종사자라면 알아서 이해할 것이고, 아니라면 그 책을 들고 읽는다는게, 좀 문제가 있는게 아닐지.. 아니면 위 영문구절이 초보자를 위한 교양서적에 속한다면, 또 그 나름대로 한자어번역 그대로 표기해도 큰 문제는 없을듯. --안형진

저도 이런 경우는 그냥 영문 그대로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 출판사들은 대체로 영문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것 같습니다. 무슨 의무조항 같은 것은 아니겠지만, 되도록 우리말로 번역을 하거나 하다못해 한글로 음을 달아달라고 하더군요. 그 바람에 마지막 저자 교정 때 저널 이름, 사람 이름을 고쳐 쓰느라 고생 좀 했습니다. --Puzzlist

Q : 논쟁의 원점인 '유한반체'와 '사영평면'을 설명해 주실 분 안계십니까? Puzzlist님 과연 이 어려운 전문용어가 그렇게 밖에는 만들어질 수 밖에 없는지를 알기 위해서 짤막하게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어노님
A : 사영평면의 문자적 의미만 설명하자면, 여기 물체가 있습니다. 물체에 빛을 쪼여서 스크린에 쪼이는 것이 사영이고, 스크린은 평면입니다.

그러면 사영평면은 '비추는 스크린'인가요? 비춤판이 사영평면보다 낫지 않을까요? 햇볕정책이 태양정책보다 쉬운 것처럼요... ---어노님

射影이라는 한자어와 projection 이라는 영어에는 '비춤'이라는 우리말보다 더 다양하고 복합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비춤'이라고 번역하는 것은 projection 에서 影의 의미를 완전히 제거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문제는 햇볕정책이 對外/對國民 선전용 정책용어이기 때문에 보다 쉽게 간명한 단어로서 충분했지만, projection은 大衆用 단어가 아닙니다. 게다가 한자어로 번역했을 때 읽는 이는 번역된 한자어로부터 보다 풍부한 의미의 길을 접하게 되고 생각의 표현에 확장성을 갖게 됩니다. 물론 이것은 좀 더 논의가 필요한 기호(嗜好)의 문제일런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저로서는 최근에 읽은 소설 '뇌(腦)'에서 이세욱님이 각고의 노력으로 의학용어들을 순우리말로 번역해 놨을 때 분노했습니다. 한자어로 번역하면, 생전 처음 듣는 전문용어라도 한자어만 보고도 대충 그 위치와 기능을 짐작할 수 있는데, 일반에 익숙치 않은 made in 상아탑標 우리말들은 그야말로 눈감고 봐야할 정도더군요. --안형진

우리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것처럼 어떤 단어와 그 의미의 관계는 자의적이다. 그 대상이 사영평면으로 불리든 비춤판으로 불리든 똥싸개라고 불리든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쉬르의 말대로 언어 현상은 당위성을 따르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그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그 대상에 대한 얘기를 하고 싶은 사람들 사이에 의사소통이 된다는 것이다. 영어권 화자가 finite semifield란 말을 들었을 때 어느 정도의 확률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까? 한국어 화자가 유한반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확률 정도나 될까? 개인적인 생각인데 이것도 한자혼용의 폐해라고 본다. 단어 자체에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는 관념인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電子라는 단어를 분해해 번개아들이라는 의미를 얻어서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반대로 한자를 쓰지 않는 경우에도 비춤판이란 단어를 분해해서 '비추는 판'이란 의미를 얻는다고 그게 무슨 소용인가? 어떤 단어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그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반드시 공부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래서 특정한 단어를 알고 있느냐는 여부는 그 사람의 지식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것은 구미 사회에서는 상식에 속하며 미국의 대학생들이 단어외우기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그런 이유이다. 그러므로 무성의한번역은 그야말로 무성의한 번역이 된다. 역자가 해당 단어가 이끄는 지식체계를 일부분이라도 전달하기를 포기한 셈이기 때문이다. ---세리자와
저도 쉬운 낱말을 쓰는 데에는 찬성입니다. "비추다"가 더 쉬운 말이기는 하지만 "사영"이라는 뜻 외에 다른 뜻도 포함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비춤판"은 거울을 뜻하는 말일 수도 있습니다. --PuzzletChung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다는 얘기네요? 헷갈리지 않느냐는거죠? 그런 예는 셀 수 없이 많습니다. 그래도 문맥으로 봐서 파악할 수 있지요. 말(言과 馬), 눈(眼과 雪) 등등... 설득력이 약한 말씀입니다. --어노님
논문 제목으로는 문맥을 따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GoogleDotCom에서 검색을 하다가 "끝있는 반마당과 비춤널"이라는 논문 제목이 검색되었다고 합시다. 그것이 수학 논문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PuzzletChung

전문용어는 전문가들을 위한 책을 쓸때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책에 전문용어를 적절한 설명도 없이 남발한다면 글쓴이의 수준을 의심해야겠죠. 하지만, 전문가들에게 전문용어는 필요하며, 유용합니다. 흠.. 제가 번역이야기페이지에서도 비슷한 의견을 개진했었습니다. --안형진

논쟁의 발단을 제가 찾은 거 같은데 한번 보십시오. 제가 유한반체-사영평면이라고 말하자 마자, 어노님님께서 '그런 식의 번역이 문제가 아닌가?'란 말을 하셨습니다. 여기서 발단이고요, 이제 마무리는 이렇게 하지요. 어노님님께 드리는 글입니다. 저는 그것이 제 분야가 아니라고 밝히고 그냥 한번 대충 의미를 짚어나가고자 하는 생각에서 유한반체-사영평면이라는 단어를 올렸습니다 끝. 이렇게 제 의견은 명확해 졌습니다. 다시 말해, 저는 잘못된 번역의 주범이 아닙니다. 물론, 어노님께서 '그런 식의 번역이 문제가 아닌가?'라고 말하신 것은 제가 시험삼아 의미를 풀이해봤던 유한반체-사영평면을 단지 잘못된 번역의 한 예로 들어 한탄하는 의도이셨던가, 혹은 저를 나쁜놈으로 여기시고, 저의 번역수준을 한탄하는 의도이셨던가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 둘중에서 저는 아직 선택을 못했는데, 그 이유는 어노님님의 문장이 의미전달에 있어서 애매한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안형진

전문용어를 선택할 때에 배경지식까지 함께 옮겨야 합니다. projection plane (사영평면)이라는 단어 하나만을 생각하지 말고 그 뒤에 숨은 projection geometry (사영기하학)이라는 학문까지 다 생각해야 하죠. 비춤판이라고 옮긴다면 비춤기하학이란 용어도 나와야죠. 그런데 컴퓨터 용어의 번역을 보면 아주 단편적 사고에서 단어를 옮긴 경우를 종종 봅니다. 컴퓨터 용어는 때로는 수학 용어일 수도 있고, 전자과 쪽 용어일 수도 있습니다. 같은 단어를 학문 분야마다 다 따로 옮긴다면 오히려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 까리용

언제나 그렇듯 개혁은 암초를 만나죠. 그런데 문제는 암초가 빙산의 일각이었다는거죠... 빙산의 크기를 알고는 질리는거죠. 그러면 우리는 언제나 돌아가야만 하죠. 이런 사고방식으로 수에즈운하와 파나마운하가 만들어질 수 있었을까요? --어노님

(1) 'Finite Semifields' -> '유한반체', (2) '유한반체' -> 'Finite Semifields '의 두 문장 중 어느 쪽을 번역이라고 해야 옳을까요? 몰랐던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게 번역이고 해석이죠. 어려운 것을 쉽게 풀어야 번역이고 해석이죠. (1)은 쉬운 게 어려워진 전형적인 예죠. 그래서 엉터리 번역이라는 것입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담고 있다는 검색엔진 구글에서 '유한반체'를 검색하면 결과가 0입니다. '유한 반체'로 띄어 써서 검색하면 1개 나오죠. Puzzlist님의 개인 홈페이지이지요. --어노님

어노님씨 처럼 ChatMate도 구글을 이용해 보았습니다. Finite Semifields 로 검색해보니 한글페이지가 셋 나오는군요. 셋중 둘은 예의 번역 유머이고 하나는 삭제된 페이지인데 Finite Semifields 가 아닌 Finite Fields 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다시 Finite Fields 로 검색해보니 '유한체 이론'에 대한 페이지들이 주루룩 나오는군요. Semi-에 대한 해석을 달리할 수 있을지 비전공자로서 알 수는 없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유한반체'가 잘못된 번역이라고 보기는 어려울듯 합니다. 특히 유한체 이론을 알고, 실제로 Finite Semifields 라는 용어를 사용할 전공자들에게는 (1) 'Finite Semifields' -> '유한반체', (2) '유한반체' -> 'Finite Semifields '의 두 문장 중 어느 쪽을 번역이라고 해야 옳을까요? 몰랐던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게 번역이고 해석이죠. 라는 어노님씨의 말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을듯 합니다. --ChatMate

무엇보다 구글에 안 나온다고 해서 "잘못된 번역"이라는 주장부터 이상합니다. 그렇게 따지면 Finite Semifield를 뭘로 번역하든 잘못된 것이 되니까요. 구글에 안 나온다는 이유로. --Puzzlist
구글에 안 나온다는 것은 사례를 든 것이죠. 중요한 것은 번역이라는게 어려운 뜻을 풀어서 쉬운 단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유한반체(有限半體)는 한글을 봐도 한자를 봐도 둘 다 어렵다는 거죠. 그게 어려우면 저리 가. 이런 식의 번역이 되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어노님
일단 수학용어로 유한반체라는 어려운 용어가 굳어져 두루 쓰이고 있는 이상, 유한반체를 잘못된 번역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노님님이 지적하는 부분에는 공감하는데, 이것은 번역자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용어를 한문으로 조어한 학자들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옛날엔 일반인의 한자지식 수준이 높았기 때문에 그럴만한 조어방식이라 생각하지만, 일본의 번역을 그대로 들여온 문제는 없는지, 쉬운 우리말로 조어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식을 과시하기 위해 한자로 조어한 학자의 문제는 없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때는 아닌가 싶고요. 이에 대해선 한국물리학회의 순우리말(혹은 토박이말)용어가 참고할 만한 것이 아닌가 싶네요. 다른 학회에서도 순우리말 용어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는지? --엉망


전문용어를 알기쉽게 풀어쓰자는 논의는 이전부터 있어왔고, 공감할만한 부분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어노님 씨가 제안한 비춤판등은 비록 적절한 대안은 될 수 없었지만 이에 도움이 될만한 하나의 노력이라는 점에서 그다지 나쁘지 않게 생각합니다. --ChatMate

외국 스릴러를 60년대인지 70년대인이지에 번역한 책을 아버지 서재에서 발견해서 본적이 있는데..거기서 이런 구절이 나오더군요.."미국특급편으로 지불해도 되겠습니까?" 무슨말인지 전혀 몰랐다가. 아멕스(American Express)카드를 말한다는걸 나중에 깨달았습니다. 당시 신용카드라는 개념이 한국에 없었으니...;) --nyxity

homepage를 '가정란'으로 번역했다는 전설같은 이야기도 있지요. :) --어노님

얼마전에 『마키아벨리의 가면』(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著, 오덕근·김정한譯, 이후출판사 발행)이라는 책을 샀습니다. 제가 사전지식이 부족해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 무성의한번역때문에 책을 산지 3주일이 넘어가는데도 불구하고 30여페이지밖에 읽지 못했습니다. '마키아벨리에 대해 성찰할 때마다 헤겔은 그를 객관적 정신의 자기 실현 과정에서의 개념의 발전에 복속시키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을 접했을때, 저는 과연 어떤 단어를 이 문장의 중심으로 봐야 하는지요? 한글로 표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영어문장 해석할 때마다 학생들에게 시키는 것 처럼 주어 찾아서 줄 긋고, 동사 찾아서 줄 긋는 광경을 상상해 보셨습니까?; --Beatrice

객관적 정신의 자기 실현 과정에서의 개념의 발전이라는 말은 그냥 헤겔식 표현입니다. 이 문장의 중심어는 당연히 개념의 발전이죠. 헤겔이 마키아벨리를 보는 관점이 그렇다는 것이구요. 무성의한 번역이라고 하기에는 부적절한 듯 합니다. 『마키아벨리의 가면』를 읽어보고 다시 쓰겠습니다. --쓴귤

저 글을 이해하지 못해서 무성의한번역의 예로 소개했다기 보다는, 토씨 '의'를 너무 무분별하게 썼다는 것을 꼬집고 싶었기 때문에 이 페이지에 올린 것이었습니다. 『우리말 바로쓰기』(이오덕著)를 아주 예전에 읽었던 적이 있는데, 그 책의 지은이가 토씨 '의'를 너무 많이 쓰는것을 대표적인 '우리말의 잘못된 일본식표현'으로 꼽아놓았더라구요. 『우리말 바로쓰기』의 모든 내용을 기억할 수는 없지만, 그 경우만은 너무나 뚜렷하게 기억이 나서...사실 저도 잘못된 표현을 쓰는 경우가 허다하지만요 :) 어쨌든 위의 문장처럼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다듬지 않은 번역은 독자들이 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커다란 장해 요인이 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Beatrice
저걸 이해하셨다니, 놀랍습니다. -_-;
사실 32페이지 이후로 진도가 안나가고 있습니다 -_- --Beatrice

토씨 '의'가 많이 사용되기는 했습니다. 그러나 이오덕 씨의 한국어 사용에 대한 관점이 지나치게 원칙적일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철학 용어는 많은 부분 일본식 어투에 빚을 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과도하게 제거한다면 오히려 독자들에게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대중서라면 다시 풀어 쓸 필요가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굳이 익숙한 표현법을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도 이상한 일입니다. 만약 그 기준을 적용한다면 거의 모든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적은 무성의한번역에 속할 겁니다. 컴퓨터 용어를 모두 음역만 하고 있지 않습니까. 3주 동안 읽어도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면 번역보다 자신에게 그 책이 맞는 것인지 살펴보는 게 어떨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마키아벨리의 가면"을 서점에서 대충 훑어보았는데 이 책은 알튀세의 주저인 "자본론을 읽자"에서 말한 징후적 독해를 마키아벨리 독해에 적용해서 쓴 책입니다. 따라서 알튀세의 다른 맥락을 모른 사람에게는 별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알튀세는 이 책에서 수많은 철학자들의 논의를 지나가는 식으로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사전 지식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독자를 가정한 책이라면 모르되 특정한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책이라면 오히려 그런 독자들에게 익숙한 표현을 쓰는 게 더 올바른 번역일 것입니다. -- 쓴귤

소비자주권이라는 말이 있더군요. '독자주권'이라는 말도 성립될 수 있을듯 합니다. 엉터리 번역의 사례는 많지요... 잘못된 용어선택, 틀린 어순, 틀린 맞춤법/띄어쓰기 등등... 이런 번역가와 출판사에 일침을 가하는게 이 페이지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어노님


HarryPotter의 무성의한 번역이야 이미 소문이 나 있지만, 황당한 번역 가운데 하나는 1권 <마법사의 돌>에 나온 "세드릭 디고리(Cedric Diggory)"가 4권 <불의 잔>에서는 "드릭 디고리"로 나온다는 것. --Puzzlist

현재까지 파악된 엉터리 번역가들
  • 김진욱
  • 박영숙

무성의한 출판사

번역자의 성의와 자질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출판사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출판사의 의무 중에 교정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1~3차까지의 교정을 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위에 거론된 사례를 보면 전혀 교정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다면 그게 출판사인가? 그건 출판사가 아니다. 인쇄소다. --어노님


출판사의 무성의는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뉘어집니다. 하나는 번역자에게 받은 원고를 내부 교정만 끝내고 역자 교정을 안하는 경우, 나머지 하나는 번역자에게 받은 원고를 전문 교정 및 기술 감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입니다.

첫 번째 경우 번역자는 그 사람이 번역을 잘한다고 책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어투를 일관되게 정리해서 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뜻을 통하게 한다고 원문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많고, 원문에서 조사만 바꿔 번역하는 경우도 많죠. 이를테면 'java와 같은 object oriented language에서는 object의 method나 attribute라는 게 있다'와 같은 형식이죠. 또는 번역자도 사람이기 때문에 원문을 제대로 번역하지 못해서 문맥이 통일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출판사는 문맥을 일치시키기 위해 애매한 표현을 확실한 표현으로 바꾸거나 하기도 하죠. 즉 원문과 번역자의 뜻과는 상관없이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 '해야 된다'는 말로 바뀌기도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자 교정 단계가 있는데 그 역자 교정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출판 날짜를 당기기 위해, 역자가 정확히 누군지 알 수 없을 때(왜 그런지는 두 번째 경우에 다룹니다), 또는 출판사 내부 교정자의 단순한 귀찮음 때문입니다.

두 번째 경우를 살펴봅시다. 번역서의 경우 값싼 번역 인력을 쓰는데 이들 번역 인력 대부분은 해당 분야 비전공자들이 대부분으로 전문 용어를 알고 번역하는 사람이 극히 드뭅니다. 게다가 번역을 하는 사람은 이걸 재하청 주는 경우가 허다하죠. 최악의 시나리오를 살펴볼까요. 이를테면 컴퓨터 서적을 번역하기 위해 출판사가 컴퓨터를 조금 다룰 줄 아는 영문과 재학중인 A라는 사람에게 맡겼다고 합시다. 이 A라는 사람은 매절(번역 원고에 대한 총 비용으로 받음)로 받아서 번역을 합니다. 하지만 A도 사람인지라 어렵거나 귀찮거나 하면 그걸 자기 친구, 후배들에게 쭉 뿌립니다. 500페이지라면 100페이지는 누구, 100페이지는 누구... 이런 식이죠. 그렇게 번역된 원고는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로 번역됩니다. 게다가 이렇게 하청받은 사람은 그 얼마안되는 번역 아르바이트를 한영번역기에 맡기는, 웃지 못할 일도 빈번합니다. A라는 사람은 그 원고를 모아서 시간이 남으면 자기가 약간 손을 보고 아니면 그냥 출판사에 넘깁니다. 출판사는 그 원고를 들고 A라는 번역자와 역자 교정 단계를 거칩니다. A는 실제 번역자가 아니니 역자 교정이 제대로 될리가 없고 출판사는 역자 교정 단계를 통해 대강 어느 정도 되었다고 판단하고 출판사 내부의 비전공자가 교정을 본 뒤 내놓습니다. 이러다보니 '논리 음향 관리자(Logical Volume Manager)', '시각적 기초(visual basic)'라는 말이 버젓이 쓰이게 되죠.

번역서는 기술 교정/감수라는 과정을 통해 책 내용 상의 문제점, 용어 선택의 문제를 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번역 비용보다 일반적으로 비싼 이 과정을 비용 절감의 목적이라는 미명 아래 생략하는 게 현실입니다. 원서의 좋은 내용을 한글로 편하게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할 번역서를 보지 못하고 머리를 싸매가면서 두 배 이상의 시간을 들여가며 원서를 볼 수 밖에 없게 되어 있습니다. 도서출판 삼각형이 최악의 컴퓨터책 번역 출간사로 낙인찍히는 이유가 그겁니다.

하지만 출판사의 영세성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출판사의 매출 구조 상 번역서는 그 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량 부수를 소화해내기가 어려우며(오렐리 등 책의 내용보다 출판사 이름만으로 책이 팔리는 극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때문에 책 단가는 높고 제작 단가는 최대한 낮게 하는 게 우선시됩니다. 게다가 번역서는 저자 확보가 제대로 안되는 업체들이 라이센스 비용만을 지불하고 저가에 값싼 번역 인력을 동원하여 이루어집니다. 왜냐하면 영세 출판 업체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보다도 번역서이기 때문이지요. 제대로 된 저자를 구하는 건 출판사 시장에서 꽤나 힘든 일 중 하나입니다. 오렐리 책 번역서를 판매하는 한빛 미디어의 경우도 처음에 오렐리 번역으로 시작해서 지금은 몇몇 저자를 두고 자체 출판을 하고 있지요. 영진출판사와 같은 저자 풀(pool)이 큰 업체들도 번역서를 내곤 하지만 번역서 비율이 아주 작죠. 큰 업체의 번역서는 해당 내용과 분야에 대한 대부분 시장 선점이 목적이고 이들 업체는 전문 기술 교정/감수 인력(혹은 기획사)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번역서만 내는 회사는 그 자체가 밥벌이입니다. 간단히 계산식 하나를 통해 알아봅시다. 시중에 2만원 짜리 책이 있다고 합시다. 관행 상 서점 마진은 30-40%, 그러니가 2만원 짜리 책에서 6,000~8,000원을 서점에게 줘야 할 돈이고, 출판사 마진은 15-20%, 그러니까 3,000-4,000원입니다. 쉽게 말해 2만원 짜리 책에서 최소 9,000원 최대 12,000원 정도가 마진으로 가고 실제 영업/출판 등 소요되는 비용이 대략 8,000~11,000원 사이가 됩니다. 좀더 쉽게 말한다면 2만원 짜리 책의 제조 원가가 1만원 즉 50% 정도라는 이야기가 됩니다(물론 출판사마다 책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이 책을 일반적으로 기본 부수인 2천부 제작한다고 하면 제작 단가가 2천만원이고, 출판사의 마진은 비용을 제외하고 6~8백만원이 됩니다. 보통 아무리 빨라도 대부분 책들이 제작 기간은 3개월은 넘고 시장에 풀려서 돈이 회수될려면 반년이 지납니다. 6개월이라고 하면 한달에 출판사가 이 책을 통해 벌어들이는 돈은 순이익이 1백만원 가량 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 예는 6개월 동안 꾸준히 2천부가 완전 소비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이런 경우 그럭저럭 잘 팔린 경우에 속합니다. 대부분 이렇게 되기는 힘들죠. 손실을 고려하면 순이익은 채 1백만원이 못됩니다. 동네 치킨집을 해도 이거보다는 많이 남습니다. 그러다보니 책을 여러 권씩 한꺼번에 진행합니다. 아무리 못해도 10권은 해야 심각하지 않은 경우라면 400-500만원 정도의 순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한달 평균 10권이 시장에서 수익을 내주려면 한달에 새로운 책을 최소한 2권은 내줘야 합니다. 이런 영세성은 일단 내고 보자는 주의로 치닫습니다. 번역서하면 떠오르는 대부분의 출판사들이 초기에 다량의 저질 번역서를 여러 권 내는 이유가 바로 그겁니다.

해결책은 사실 별로 없습니다. 도서 시장의 구조 문제가 일단 해결되어야 양질의 번역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고, 지금은 턱없이 부족한 전문 서적 기술 감수 인력 풀이 좀더 현실적으로 늘어나야 하겠죠. 그러나 아직도 요원합니다. 공부 잘하는 학생이 반드시 좋은 선생님이 될 수 없는 것처럼 풍부한 지식의 소유자가 훌륭한 기술 감수 인력이 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KoKIDS

출판사명을 공개해도 문제가 없을듯 하여 수정했습니다. --ChatMate

KoKIDS님의 설명에 조금씩 이해가 되네요... 그런데 마지막 부분에 '해결책은 사실 별로 없다'고 하셨는데요... 좀 안타깝네요. 우리나라에 책읽는 사람이 몇백 몇천만명인데... 이런 엉터리 출판사들을 계속 두고 봐야 할까요? 이를테면 베스트드레서 10인, 워스트드레서 10인 선정하듯이... 매년 또는 1년에 2~3번씩 베스트출판사 10, 워스트출판사 10 같은 걸 선정해서 발표하여 언론매체에 배포한다면 출판사들도 책 소비자로서의 독자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책은 한번 발행되어 판매되면 독자의 손에 오래 남게 되는데... 이런 엉터리 책을 만드는 것은 모두에게 낭비가 되기 때문입니다. --어노님


현재까지 파악된 국내 유명 "인쇄소"들
  • 문학사상사
  • 세종연구원
  • 도서출판 삼각형

무관심한 독자

틀린 것을 보고도 무심코 지나치는데 익숙한 독자... 어쩌면 나 자신의 소극적인 태도 때문에 출판사가 대충대충 출판해서 팔아먹을 수 있지 않았나? 여기에 글을 올리는 분들은 그 반대지요. --어노님


이 페이지를 읽다보니 생각나는데 사실 이건 무성의한번역이라기보다 '틀린 번역'이 되겠지만.., 어느 책에선가(뭐였는진 기억이 안남..) "missionary position"을 "선교자적 지위"던가 머 이 비슷하게 번역했더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참 잼있어한 적이 있다. (아, 이 의미의 완벽한(!) 전도라니.^^) --우산
하하하... 번역자가 그쪽 분야에는 문외한인듯 합니다. ^^) 소시적부터 '가정대백과'의 그림까지 섭렵한 사람들은 금방 아는데.. --어노님


무성의한 번역을 피하는 요령

번역자에 대한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고르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아직 그 정도의 내공이 되지 않는지라 몇 가지 기준으로 책을 고르고 있습니다.

  • 번역자의 약력을 보고 번역한 책이 얼마 없는 경우 피한다.
  • 영문학 전공자 보다는 해당 분야 전공자가 번역한 책을 고른다. 물론 소설이라면 영문학 전공자가 낫겠지만 교양서적을 주로 보는지라.
    해당 분야 전문가의 번역이 오히려 엉망인 경우도 많습니다. 일례로 의사 혹은 생물학 교수가 번역을 한 생물학 교양도서(전공서적이라고 하기엔 뭐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상당히 수준이 높은 책들)를 보면 "도대체 이 문장을 읽고 저자가 의도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인가?" 싶게 이상한 문장들이 매우 많습니다. 아무리 앞뒤 문맥을 이용해 유추해보려 해도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문장도 있고, 결국은 오역으로 결론이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련 경우 대부분 자신이 직접 번역을 안했거나(대학원생을 시킨다든지) 기초 생물학엔 문외한인 전공자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의사들은 기초생물학에 매우 약합니다. 학부 1-2학년 수준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철학전공을 한 사람이 번역한 책은 피한다. 이건 편견일 수도 있겠지만 철학을 전공한 사람들은 영어의 문장과 한국어의 문장이 등치가 되도록 번역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즉 직역투를 많이 쓴다. 철학전공자들이 주로 어려운 책을 번역하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 지도 모르겠다.
    -- 남용운
  • 번역자가 교수일 경우, 서문에 도움준 아무개 아무개가 있다면 다시 고려해 본다.




"; if (isset($options[timer])) print $menu.$banner."
".$options[timer]->Write()."
"; else print $menu.$banner."
".$time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