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과학사학자 토마스쿤 (ThomasSamuelKuhn 1922~1996)이 지은 과학사 연구서.
- 구분 : 과학, 과학사, 과학철학
- 저자 : 토마스쿤
- 발간연도 : 1962년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수정)
책의 내용은 부분적으로는 과학혁명을 주제로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과학의 발전이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저자는 과학발전의 객관적 보편성에 이의를 제기하고, 과학의 발전은 과학이 이상 현상의 출현으로 위기에 부딪혀 붕괴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그 결과는 새로운 과학의 출현을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예컨대 어떤 과학이론에 의해 과학적 지식이 발전하다가 그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상현상이 나타나면, 그 시대의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패러다임으로는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의 혁명, 즉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 새로운 과학이 출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가 자연과학의 발전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이같은 패러다임이론은 다른 문화현상을 설명하는 데에도 활용되어 20세기 후반의 대표적 문명관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과학계에서는 이 이론으로 말미암아 과학의 무한한 발전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을 깨고 과학발전의 방향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
번역서가 여러 종류가 있다. 모두 어렵지만 그 중에서도 이화여대출판부에서 나온 조형이 번역한 것이 가장 읽기에 적합한 것 같다. 군데군데 이상한 번역이 눈에 띄지만, 다른 사람이 번역한 것 보다 훨씬 낫다. 원서도 읽어 보았지만 이해하기 만만치 않다. 이 책으로 읽기를 하고 싶으면 한글로 읽고 원서로 다시 보는 것이 추천할 만하다.--석
과학혁명의 구조 ¶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이 패러다임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원래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였던 패러다임이라는 용어는 쿤이 새롭게 규정한 의미를 통해 확장되어 이제는 사회과학과 정치학등의 학문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마치 찰스다윈의 진화라는 개념처럼. 패러다임이란 하나의 수용된 <모델> 또는 <패턴>이다. 쉽게 이야기 하자면 패러다임이란 한 시대 특정 분야의 학자들이나 사회 전체가 공유하는 이론,법칙,지식,가치,심지어 믿음이나 습관 같은 것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을 말하는 것이다. 과학자의 활동과 과학자체는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다는, 그래서 과학은 합리적이고 엄밀한 영역이라는 전통적인 과학관에 일격을 가한 책이 쿤의 과학혁명의구조이다. 이 책을 함께 읽으면서 과학이라는 것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었으면 한다.
챕터별 Discussion 및 발제자 ¶
차례 | Chapter | 주제 | 발제자 |
1장 | 과학혁명의구조/서론 | 서론:역사의 역할 | 김우재 |
2장 | 과학혁명의구조/정상과학에로의길 | 정상과학에로의 길 | 김우재 |
3장 | 과학혁명의구조/정상과학의성격 | 정상과학의 성격 | 석 |
4장 | 과학혁명의구조/퍼즐풀이로서의정상과학 | 퍼즐풀이로서의 정상과학 | JikhanJung |
5장 | 과학혁명의구조/패러다임의우선성 | 패러다임의 우선성 | yong27 |
6장 | 과학혁명의구조/이상현상그리고과학적발견의출현 | 이상 현상 그리고 과학적 발견의 출현 | 환이 |
7장 | 과학혁명의구조/위기그리고과학이론의출현 | 위기 그리고 과학 이론의 출현 | 김우재 |
8장 | 과학혁명의구조/위기에대한반응 | 위기에 대한 반응 | 김우재 |
9장 | 과학혁명의구조/과학혁명의성격과필연성 | 과학혁명의 성격과 필연성 | 전진호 |
10장 | 과학혁명의구조/세계관의변화로서의혁명 | 세계관의 변화로서의 혁명 | Closely |
11장 | 과학혁명의구조/혁명의비가시성 | 혁명의 비가시성 | Jimmy |
12장 | 과학혁명의구조/혁명의해결 | 혁명의 해결 | 김우재 |
13장 | 과학혁명의구조/혁명을통한진보 | 혁명을 통한 진보 | 김우재 |
추가 | 과학혁명의구조/추가 | 추가 : 개정판 | JongHoon |
이 책으로 과학독서토론모임하면서... ¶
누군가 발제를 올리면 그 글을 프린트해서 읽으세요. 모니터에서 읽는 것은 집중이 안됩니다. 책을 펴놓고 프린트한 것을 읽으면서 자신이 첨가해 줄 수 있는 부분과 이상한 부분을 체크하세요. 그리고 그부분이 정리되면 발제에 추가시켜주시는 겁니다. 꼭 토론을 하지 않더라도 이런 식으로 공동필기장이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발제하는 사람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프린트해서 읽고 자신이 이해한 내용과 비교하는 것은 하루 30분정도의 투자로 충분할 겁니다. --김우재
근데, 이책이 역자에 따라 종류가 다양한것 같습니다. 제가 보고 있는것은 김명자씨의 99년 번역판입니다만, 일단은 번역하시는 분들이 원문에 충실하려고 하는것 같아서, 이번 과학독서토론모임에는 별 문제없다고 생각됩니다. 어쩌면, 다양한 번역본들로 인해 토론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단점에서오는장점이 될수도 있겠죠. 그나저나... 번역이 매끄럽지 못해서인지 책에 집중하기가 좀 어렵네요^^; (변명...) 그럼 모두들 즐거운 독서되시길.. --yong27
제가 나서서 왈가왈부하긴 그렇지만 여러 사람들이 그렇다고 말하시던데요...의미가 모호한게 많아서리...영문상에선 명확해도 한글로 옮기니까 의미가 혼동되는 게 많은 것 같던데...일례로 '의'라는 관용격 조사가 세번 연속 쓰인 것도 보았습니다...-_-;; --JongHoon
어렵습니다. 제가 요약을 잘 못하는건지 문장 구조가 산만한건지 --; 수정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네요. 과학 상식이 부족함을 통감합니다. 전진호
괜찮습니다. 모두가 이해한 글로 진화 하길 기다리죠 그게 우리의 최종목표니까요. 그런데....아직 제가 2챕터를 안올렸는데....-_-;; 순서대로 가야죠..흑..절 채찍질 하시는 건가요? --김우재
순서대로 가야 되는거군요. 전 맡은부분이 어느정도 정리가 되면 그냥 올리는건줄 알았어요. 채찍질은 아니구요. 바늘방석에 함 앉아보시라구 헤헤 ..^^; 전진호
번역이 엉망이고, 읽기가 어렵다는 점을 통감합니다. 그래서 발제를 하실 때에는 문장을 평이하게 고치고, 충분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들 생각하시는지요?
책의 번역이 어렵게 된건지..문장이 와닿는데 참으로 오래 걸리네요..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 JongHoon저같이 자연과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은 더 어렵더라구요. 예들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윤구현
고등학교때 이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는 숙제가 있었는데요. 읽어도 읽어도 책장은 안 넘어가고 졸리기만 하더군요. 그 당시에는 제대로 이해를 하지 못한 나머지 독후감의 마지막 글귀에 "이 책을 고등학생에게 선정도서로 선택한것이야 말로 혁명이다." 라고 적었었습니다-_-;.. 선생님께 혼나지 않은게 다행이네요. 아직도 잘 이해는 못했지만, '패러다임'의 정의에 대해서 알게 된 것으로 만족합니다.